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학교.4>'교육청-자치단체 협력' 절실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구도심과 신도심, 도시와 농어촌 학교 불균형 문제는 교육 당국의 정책 실패에 앞서 정부와 자치단체에 더 큰 책임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이미 고착화된 현상으로 하루 아침에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아닌데요.

하지만 정부와 자치단체가 소규모 학교에 대한 지원을 늘린다면, 최소한 일방적인 학교 통폐합으로 인한 학생과 학부모 피해는 줄일 수 있습니다.
백행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1943년 개교한 강릉 송양초등학교입니다.

농촌학교로 많은 졸업생을 배출했지만, 도시지역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면서 지난 2006년 전교생 수가 23명까지 줄어들었습니다.

오랜 전통의 학교가 폐교 위기에 몰리자 지역사회와 동문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습니다.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 등을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외국어 특화학교로 만들기로 한 겁니다.

전교생에게 뉴질랜드 문화교육 어학연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파격 조건을 걸었습니다.

학부모 반응은 폭발적이었습니다.

10년도 안돼 학생 수가 6배 넘게 늘어났습니다.

[인터뷰]
"영어는 주당 4시간 중국어 일본어는 주당 2시간씩 원어민 선생님 일곱분이 아동 지도에 함께 하고요. 외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어서 아마 많은 부모님들의 희망하는 학교가 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송양초등학교 사례는 농어촌과 구도심 소규모 학교를 살릴 수 있는 모델인 셈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학생들이 적절하게 나눠지면, 학교를 통폐합하거나 신설하지 않아도 됩니다.

나아가 농어촌과 구도심을 살리는 기폭제 역할도 가능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인터뷰]
"여기가 원도심이라 대부분 노인분들이 많이 있고 그나마 이 학교가 있기 때문에 젊은 분들이 있는데 만약에 이 학교가 폐교가 된다면 그 젊은 분들이 이사를 가게 될테고 그럼 여기가 더 고령화될거고."

구도심과 농어촌 학교로 다시 학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선 예산 투입이 우선인데,

도내엔 학생 수 60명 이하 학교가 269곳에 달해, 빠듯한 교육청 예산으로 모두 지원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마저 농어촌 읍.면 학교에 집중되면서, 구도심 소규모 학교는 각종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학교 문제라고 해서 교육당국에만 맡길게 아니라, 자치단체와 지역 사회가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하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교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부분이 중요하겠구요. 그것과 함께 주변지역에 교육서비스와 같이 결합할 수 있는 여러가지 도서관이나 아니면 영화라든지 갤러리 이런 복지서비스나 문화서비스들이 (함께 들어서야 합니다)."

'다수의 편의를 위해서 소수의 희생은 감수해야 한다'

아이들 공부하는 환경이 비정한 경제 논리에 좌지우지되지 않으려면, 지역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G1뉴스 백행원입니다.
백행원 기자 gigs@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