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 바로가기
최신뉴스
침체된 경제..활력 기대감
2025년 04월 07일(월)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강민주
백일해 비상..성인도 예방접종 권고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백일해는 백일 동안이나 기침이 낫지 않는다고 해 이름이 붙여진 감염병인데요,

그런데 최근 빠른 속도로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예방 접종과 함께 철저한 개인 방역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정창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백일 동안 기침이 낫지 않는다는 백일해.

심한 기침과 함께 구토 증상까지 나타나면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이 동반됩니다.

◀SYN/음성변조▶
"밤에 특히 심하고요. 제가 기침을 한 달 정도를 했는데 잠을 잘 수가 없어요. 누워있으면 더 심하니깐.."

법정감염병 2급으로 지정된 백일해가 최근 급속도로 번지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의 백일해 환자는 1365명.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00배가 넘게 늘었습니다./

/증가세도 뚜렷합니다.

지난달 4째 주 백일해 확진자는 2백 명대에 머물렀는데 최근 들어 발생한 환자는 6백 명이 넘습니다./

/백일해 환자의 90%는 소아 청소년.

도내 학교에서도 백 여명의 백일해 환자가 보고됐습니다./

다행히 영유아의 백일해 예방 접종률은 95%에 달해 폐렴으로 악화되거나 합병증으로 인해 숨진 경우는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백일해가 침과 콧물 등으로 전파되는 만큼 소아나 청소년과 접촉이 잦은 성인들은 추가 예방접종을 권고합니다.

[인터뷰]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고 특히,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아이가 있는 부모들은 10년마다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백일해 접종은 한 번 하겠다 이렇게 생각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교육당국은 백일해 확진자에 대해 닷새간의 격리조치를 권고하고 마스크 쓰기 등 개인 방역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G1뉴스 정창영입니다.
정창영 기자 window@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