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 바로가기
최신뉴스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강민주
강원 무역항, 마약 안전지대 아니다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지난 2일 대규모 마약 의심 물질이 적발된 항구는 강원자치도가 관리청인 강릉 옥계항입니다.

국가항만과는 달리 출입국과 검역 등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고 시설도 열악해 각종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도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역대 최대 규모 마약 의심 물질이 발견된 강릉 옥계항.

1997년 시멘트 운반을 위해 지방무역항으로 개항한 곳입니다.

그동안 시멘트와 석탄 운반선 등만 오가다 2년 전부터는 국제 컨테이너선 항로까지 개방했습니다.

외국적 선박이 수시로 입항하는 곳이지만,

세관과 출입국, 검역 등을 관리하는 CIQ는 없습니다.

선박이나 화물을 확인하는 별도의 절차 없이 선원이 항만 밖을 나갈 때만 몸 수색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SYN/음성변조▶ 지방무역항 관계자
"출입국 이런 거는 선원들 출입국 관리국인 선박 대리점이 있어요. 그 사람들이 그 업무를 대행을 해요. (별도 화물이나 수색이나 이런건 없는 건가요?) 그렇죠 우리가 어떻게 해요."

삼척과 속초 등 다른 지방무역항도 상황은 마찬가지.

필요에 따라 해양수산청이나 세관 등에서 출장을 나올 때도 있지만,

자체 시설이 없다 보니 제대로 된 검사 장비도 갖춰지지 않아 보안과 각종 범죄에 취약합니다.

항만을 총괄하는 통합 관리 체계가 없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강원자치도는 이번 마약 의심 물질 발견과 관련해 선박의 입출항 내역 외에 구체적인 정보는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관리청임에도 불구하고 세관과 해경 등 관련 기관과의 정보 공유가 전혀 없었던 겁니다.

[인터뷰]
신범식 가톨릭관동대 스마트항만전공 교수
"지방 무역항으로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공백, 사각지대 이렇게 인식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작은 물동량이라도 국제적인 관계가 이뤄질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최근 마약 우범국의 통제가 강화되면서 국제 마약 조직이 새로운 유통망 확보에 나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취약한 지방무역항 운영과 관리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영상취재 원종찬>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