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
2021-12-04
G1방송
키보드 단축키 안내
한국전쟁 때 수복한 철원읍 소재 민통선 마을 ‘대마리’.
해방당시에는 38선 이북이었다가 휴전선이 북으로 올라가 이남 땅이 됐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이 옥토가 되기까지는 비통한 희생이 있었다.
분단직후 대마리에는 민족상잔의 비극과 분단의 상흔이 지뢰로 남아 곳곳에 도사렸다.
군 당국은 버려진 땅을 농경지로 사용하기 위해 출신성분이 좋은 150명을 선발해 이주시키고 지뢰밭을 개간하도록 했다.
이주민들은 “지뢰가 터져서 죽어도 좋다”는 서명을 한 뒤에 목숨을 담보로 대마리 개척 작업을 벌였다.
북한군과 국군 사이에 있는 계곡에 텐트를 치고 직접 만든 탐지기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면서 1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지뢰 사고로 현장에서 사망했다.
이런 대마리 주민들의 처절한 생존의 개척사를 時로써 기록한 이가 있다.
강원도 철원 출신의 정춘근 시인.
시집 <지뢰꽃 마을 대마리>에 철원 최북단 마을 대마리의 개척사라는 단 하나의 주제로 써 내려간 75편의 시가 실렸다.
시간순서에 따라 구성된 75편의 시는 그 어떤 역사서보다,
사람들로 하여금 당시 대마리 주민들이 이야기에 더욱 귀 기울이게 한다.
분단의 그늘 아래서 벌어졌던 숨겨진 아픈 역사!
처절한 생존의 몸부림에 대한 서사!
時로 재탄생한 대마리 이야기를 DMZ스토리에서 만나본다.
해방당시에는 38선 이북이었다가 휴전선이 북으로 올라가 이남 땅이 됐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이 옥토가 되기까지는 비통한 희생이 있었다.
분단직후 대마리에는 민족상잔의 비극과 분단의 상흔이 지뢰로 남아 곳곳에 도사렸다.
군 당국은 버려진 땅을 농경지로 사용하기 위해 출신성분이 좋은 150명을 선발해 이주시키고 지뢰밭을 개간하도록 했다.
이주민들은 “지뢰가 터져서 죽어도 좋다”는 서명을 한 뒤에 목숨을 담보로 대마리 개척 작업을 벌였다.
북한군과 국군 사이에 있는 계곡에 텐트를 치고 직접 만든 탐지기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면서 1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지뢰 사고로 현장에서 사망했다.
이런 대마리 주민들의 처절한 생존의 개척사를 時로써 기록한 이가 있다.
강원도 철원 출신의 정춘근 시인.
시집 <지뢰꽃 마을 대마리>에 철원 최북단 마을 대마리의 개척사라는 단 하나의 주제로 써 내려간 75편의 시가 실렸다.
시간순서에 따라 구성된 75편의 시는 그 어떤 역사서보다,
사람들로 하여금 당시 대마리 주민들이 이야기에 더욱 귀 기울이게 한다.
분단의 그늘 아래서 벌어졌던 숨겨진 아픈 역사!
처절한 생존의 몸부림에 대한 서사!
時로 재탄생한 대마리 이야기를 DMZ스토리에서 만나본다.
- 이전글없음
- 다음글2회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