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논평>올림픽시설 완공, 사후 활용 방안 시급
2017-11-12
전종률 기자
키보드 단축키 안내
[리포터]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가 지금 전국을 달리고 있습니다.
그리스 아테네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에 전달돼 국내로 들어온 성화는 앞으로 89일 후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올림픽스타디움에 도착합니다.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에서 차기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호명됐을 때 강원도는 그야말로 가슴 벅찬 환희의 물결을 이뤘습니다.
이후 6년여에 걸친 대회 준비 끝에 역사적인 올림픽 개막을 두달 남짓 앞두게 됐습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세계 최대 스포츠축제의 서막을 장식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아시아에서 2년 주기로 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1896년 그리스에서 시작된 근대 올림픽 역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평창올림픽의 열정이 도쿄와 베이징으로 이어져 성공적인 대회 개최의 밑거름이 된다면 한국과 일본, 중국이 새로운 동반자의 길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평창올림픽 주요 시설물은 사실상 모두 완공됐습니다.
개폐회식이 열리게 될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은 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행사 전용 시설로 건축됐습니다.
3만 5천석의 가변좌석을 비롯한 가설 건축물은 대회를 마친 뒤 철거되고 올림픽 기념관을 비롯한 문화스포츠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올림픽 경기장도 마무리 공사가 한창입니다.
개폐회식장과 7개 경기장은 신축됐고, 6개 경기장은 기존 시설을 보완했습니다.
시설 공사에 1조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습니다.
일부 경기장은 지역 주민을 위한 올림픽유산으로 활용될 예정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평창올림픽 유산으로 서울-강릉 KTX노선을 꼽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서울역에서 강릉까지 1시간 30분.
청량리역에서 강릉까지 무궁화호로 6시간 걸리던 거리가 무려 4시간 30분 단축됐습니다.
공사기간 5년 6개월, 공사비 3조 7천600억원이 투입된 서울-강릉 철도는 강원도 균형발전을 위해 유치한 평창 동계올림픽의 최대 성과이자 유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대회 개최와 마무리를 위해 당장 해결해야할 과제도 있습니다.
해발 700미터 평창의 2월 강추위가 예상되는 개.폐회식장 방한대책과 교통.숙박대책,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 등이 그것입니다.
정부와 조직위, 강원도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강원도로서는 안전한 올림픽 개최 못지 않게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이 걱정입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을 비롯해 강원도가 떠맡아야할 7개 경기장 관리운영에 연간 1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 여부는 원활한 대회 운영과 올림픽 유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강원도가 올림픽 시설 사후 관리를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이윱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슬로건은 하나된 열정입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국민적 열정과 관심이 30년만인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우리 도민들부터 올림픽 열정과 주인의식으로 하나가 돼야 겠습니다.
G1논평입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가 지금 전국을 달리고 있습니다.
그리스 아테네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에 전달돼 국내로 들어온 성화는 앞으로 89일 후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올림픽스타디움에 도착합니다.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에서 차기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호명됐을 때 강원도는 그야말로 가슴 벅찬 환희의 물결을 이뤘습니다.
이후 6년여에 걸친 대회 준비 끝에 역사적인 올림픽 개막을 두달 남짓 앞두게 됐습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세계 최대 스포츠축제의 서막을 장식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아시아에서 2년 주기로 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1896년 그리스에서 시작된 근대 올림픽 역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평창올림픽의 열정이 도쿄와 베이징으로 이어져 성공적인 대회 개최의 밑거름이 된다면 한국과 일본, 중국이 새로운 동반자의 길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평창올림픽 주요 시설물은 사실상 모두 완공됐습니다.
개폐회식이 열리게 될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은 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행사 전용 시설로 건축됐습니다.
3만 5천석의 가변좌석을 비롯한 가설 건축물은 대회를 마친 뒤 철거되고 올림픽 기념관을 비롯한 문화스포츠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올림픽 경기장도 마무리 공사가 한창입니다.
개폐회식장과 7개 경기장은 신축됐고, 6개 경기장은 기존 시설을 보완했습니다.
시설 공사에 1조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습니다.
일부 경기장은 지역 주민을 위한 올림픽유산으로 활용될 예정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평창올림픽 유산으로 서울-강릉 KTX노선을 꼽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서울역에서 강릉까지 1시간 30분.
청량리역에서 강릉까지 무궁화호로 6시간 걸리던 거리가 무려 4시간 30분 단축됐습니다.
공사기간 5년 6개월, 공사비 3조 7천600억원이 투입된 서울-강릉 철도는 강원도 균형발전을 위해 유치한 평창 동계올림픽의 최대 성과이자 유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대회 개최와 마무리를 위해 당장 해결해야할 과제도 있습니다.
해발 700미터 평창의 2월 강추위가 예상되는 개.폐회식장 방한대책과 교통.숙박대책,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 등이 그것입니다.
정부와 조직위, 강원도가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강원도로서는 안전한 올림픽 개최 못지 않게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이 걱정입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을 비롯해 강원도가 떠맡아야할 7개 경기장 관리운영에 연간 1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 여부는 원활한 대회 운영과 올림픽 유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강원도가 올림픽 시설 사후 관리를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이윱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슬로건은 하나된 열정입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국민적 열정과 관심이 30년만인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우리 도민들부터 올림픽 열정과 주인의식으로 하나가 돼야 겠습니다.
G1논평입니다.
전종률 기자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