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뉴스in.2가상>노인-청년 대책 '균형' 필요 R
2015-01-14
김도환 기자 [ dohwank@g1tv.co.kr ]
[앵커]
[리포터]
1/ 네, 앞서 보신 영월군 상동읍의 인구 분폽니다.
나이별로 그려봤는데 '깔때기' 모양입니다.
자, 여기서 10년, 20년, 또 30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요?
극단적으로 가정하면 공동체는 어느 순간 붕괴되고 맙니다./
2/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를 겪은 일본에선 '한계집락'이란 개념이 있습니다.
65세 이상 주민이 50%를 넘으면 공동체 유지가 힘들다고 보는 겁니다.
3/ 강원도의 인구 구조 예측치입니다.
이쯤이 지금 모습이고요, 현재 추이대로 가면 2030년엔 이런 모습이 됩니다.
한 눈에 보기에도 고령층이 아주 많이 늘어납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57.3%나 됩니다.
대신 스물 다섯에서 쉰 전까지 이른바 '핵심생산인구'는 전체의 1/4로 줄어듭니다.
1/4로 줄어든 생산 인구가 60% 가까운 노령 인구를 사회적으로 부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4/지역별로 차이도 큽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곳은 현재 55세 미만 인구가 70%를 넘는 안정적인 지역입니다.
대부분 큰 시 지역이지요.
붉은색은 65세 이상 인구가 1/4에 가까운 위험 지역인데 군단위 지역이 많습니다.
사실 이쪽 접경지도 상당히 위험한데, 군장병이 많아서 일단 통계엔 이렇게 나옵니다.
4-1 /여기에 아까 본 한계집락 개념을 적용해보면, 도내 194개 읍면동 가운데 27개 읍면동이 지속 가능이 곤란한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심각하지요.
5 /문제는 악순환입니다.
고령인구가 늘면 경제 활동인구가 줄어서 소비가 위축이 되죠.
지역경기는 침체되고 출산이 떨어지고 젊은이는 지역을 떠납니다.
여기서 다시 고령화가 심화되서 악순환이 돌게됩니다.
어느 지점이든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6 /정책이 중요한데, 지금은 노인 정책이 득세하고 있습니다.
선거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길게 보면 이 정도론 부족합니다.
출산,육아,교육, 취업.. 이런 청년 대책을 맞춰야 균형있게 우리 공동체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습니다.
[리포터]
1/ 네, 앞서 보신 영월군 상동읍의 인구 분폽니다.
나이별로 그려봤는데 '깔때기' 모양입니다.
자, 여기서 10년, 20년, 또 30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요?
극단적으로 가정하면 공동체는 어느 순간 붕괴되고 맙니다./
2/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를 겪은 일본에선 '한계집락'이란 개념이 있습니다.
65세 이상 주민이 50%를 넘으면 공동체 유지가 힘들다고 보는 겁니다.
3/ 강원도의 인구 구조 예측치입니다.
이쯤이 지금 모습이고요, 현재 추이대로 가면 2030년엔 이런 모습이 됩니다.
한 눈에 보기에도 고령층이 아주 많이 늘어납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57.3%나 됩니다.
대신 스물 다섯에서 쉰 전까지 이른바 '핵심생산인구'는 전체의 1/4로 줄어듭니다.
1/4로 줄어든 생산 인구가 60% 가까운 노령 인구를 사회적으로 부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4/지역별로 차이도 큽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곳은 현재 55세 미만 인구가 70%를 넘는 안정적인 지역입니다.
대부분 큰 시 지역이지요.
붉은색은 65세 이상 인구가 1/4에 가까운 위험 지역인데 군단위 지역이 많습니다.
사실 이쪽 접경지도 상당히 위험한데, 군장병이 많아서 일단 통계엔 이렇게 나옵니다.
4-1 /여기에 아까 본 한계집락 개념을 적용해보면, 도내 194개 읍면동 가운데 27개 읍면동이 지속 가능이 곤란한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심각하지요.
5 /문제는 악순환입니다.
고령인구가 늘면 경제 활동인구가 줄어서 소비가 위축이 되죠.
지역경기는 침체되고 출산이 떨어지고 젊은이는 지역을 떠납니다.
여기서 다시 고령화가 심화되서 악순환이 돌게됩니다.
어느 지점이든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6 /정책이 중요한데, 지금은 노인 정책이 득세하고 있습니다.
선거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길게 보면 이 정도론 부족합니다.
출산,육아,교육, 취업.. 이런 청년 대책을 맞춰야 균형있게 우리 공동체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습니다.
김도환 기자 dohwank@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