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기동취재
감춰진 부조리를 샅샅히 파헤져 다함께 바로잡겠습니다.
<기동.2>HIV.AIDS환자 관리, 구멍 숭숭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이처럼 가장 큰 문제는 HIV 감염자와 AIDS 환자들이 스스로 알릴 때까지 의료기관에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점입니다.

사실상 해당 환자들의 진술에만 의존해야 한다는 건데요,

그렇다면, HIV 감염자와 AIDS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맡고 있는 보건당국은 어떤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을까요.
계속해서 김기태기자입니다.

[리포터]
/지난 2014년 기준으로 전국의 HIV 감염자와 AIDS 환자는 모두 9천 615명.

도내에는 약 150여명이 보건 당국의 관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혈액 검사에 의해 HIV 감염자와 AIDS 환자가 발견될 경우 관련법에 따라 즉시 질병관리본부에 신고하도록 돼있습니다.



"문제는 이번 사태처럼 HIV 감염자와 AIDS환자 등 법정 감염병 환자들 조차 의무 기록이 공유되지 않는 시스템상의 헛점이 들어났다는 점입니다."

/무엇보다,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HIV 감염자와 AIDS환자들에 대한 의무 기록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습니다./

병원마다 다른 시스템을 구축해 사용하고 있는데다, 환자 개인정보라는 이유 때문입니다.



"병원대 병원끼리 연계가 안되어 있어요. 전국에 있는 모든 병원들이. 왜냐하면 환자 개인 인적 정보 사항이고 치료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평소 HIV 감염자와 AIDS환자에 대한 관리도 문제입니다.

정부가 진료비나 면역검사 등을 제공하고는 있지만, 환자 본인 선택 사항입니다.

관리 주체인 지역 보건소에서는 3개월에서 6개월마다 관련 치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고작입니다.

이 마저도 이사를 가거나 휴대폰 번호가 바뀌면 환자 스스로가 신고하기 전에는 찾을 방법이 없습니다.



"본인이 (치료를 거부하고) 연락을 끊어버리는 경우, 그러면 어떻게 방법이 없잖아요. 찾아갈 수도 없고.."

이러다보니 이번 원주 한양정형외과 사태처럼 HIV 감염자 치료가 뒤늦게 밝혀져, 전체 환자들이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이는 일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어떤 병원을 갈때 HIV감염인이라는 것을 병원에서 바로바로 확인이 된다고 하면, 그 병원에서 진료 거부에 대한 일이 있을 수도 있고.."

인권보호 장치를 강화하면서 추가 감염을 막는 대책은 고민도 안하고, 무조건 비밀만 유지하는 의료 시스템은 문제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보건 당국의 허술한 관리 때문에 주민들의 불안감도, HIV 감염자와 AIDS 환자들에 대한 편견도 커지고 있습니다.
G1뉴스 김기탭니다.
김기태 기자 purekita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