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광고안내
장애인 서비스
  • 15부 백두산떡숙을 아십니까

    방송일 2019-08-10

    0 111

    양구 해안면에 위치한 DMZ자생식물원에는 별도의 북방계식물전시원이 있다. 올 6월 보름동안 한시적으로 일반에게 개방되었지만 원칙적으로는 비개방지역이다. 북방계식물을 보존, 연구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북방계식물전시원은 북한, 만주, 러시아 등 북방계식물을 발굴하고 선정하여 약 170여종의 북방계 식물로 조성된 전시원이며, 식물이 원래 살던 자생지의 환경을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백두산떡쑥, 넌출월귤, 백산차, 구름국화, 진퍼리꽃나무 등 이름조차도 생소한 이 식물들은 남한 땅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북한에서 서식하는 북방계식물들이다. 통일이 되면 보고 싶은 야생화들. 그 식물들은 자생지인 북한의 산야에 관한 이야기까지 담고 있다. DMZ스토리에서는 ‘북방계식물로 만나는 북한 산야’라는 주제로 통일 시대 남북한의 생태와 자연 환경을 어떻게 유지하고 가꿀 것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 14부 해안 철책선길, 해금강과 금감산을 한눈애 담다

    방송일 2019-08-03

    0 164

    남북 마음의 장벽을 허물다! 고성 평화의 길 금강산과 동해가 어우러진 풍경이 파주, 철원 쪽과는 비교할 수 없이 아름다운 ‘고성 평화의 길’. 4·27 남북정상회담 1주년인 지난 4월 27일, 길이 개방됐다. 지금까지 3천여 명이 넘는 사람들이 다녀갔다는 이 길은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시작해 분단의 역사를 품은 해안 철책길을 따라 금강산이 한눈에 보이는 717OP, 일명 금강산전망대까지 이어진다. 고성 길의 진수라 할 수 있는 717OP는 북쪽과 가장 가까운 관측소라는 의미만으로도 특별한 곳이지만 거기서 바라보는 빼어난 경관은 이곳을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그 풍경이 너무나 아름다워 ‘금강산 전망대’라는 별칭까지 생겨났다. 분단의 역사를 품고 있다는 해안 철책길에는 과거 금강산역을 향해 달리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기차역 ‘제진역’과 최북단 ‘금강통문’이 자리하고 있다. 통문은 DMZ로 들어가는 공식적인 통로이자 DMZ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일한 문으로, 이곳은 그간 금강산 육로관광과 이산가족상봉 등을 위해 오가던 남북평화의 상징적 장소로 꼽힌다. 그러나 멈춰버린 기차와 굳게 닫힌 문, 아름다운 해안 길을 둘러싼 철책과 지뢰. 70여년 분단의 세월만큼 높아진 남과 북의 장벽이 자리한 그 길 위에 작은 소망나무 하나가 세워졌다. 그리고 ‘우리의 한 걸음이 평화를 위한 한 걸음이 되길 바란다’는 이 길을 걸었던 어떤 이의 소망처럼 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의 소망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2019년 여름, 분단의 역사를 품은 이 길에서 그렇게 평화가 시작되고 있다.

  • 13부 정전협정 66주년 DMZ에서 평화를 묻다

    방송일 2019-07-27

    0 109

    DMZ는 한민족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프랑스 청년 누군가의 할아버지는 한국 동부전선에서 부상당했다. 중국 청년 누군가의 할아버지는 파주 적군묘에 묻혀 전쟁이 끝난 지 6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지금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현재 DMZ 들판과 고지에 자라고 있는 서양민들레와 돼지풀은 60여 년 전 그들의 군화 발에 묻어온 풀씨들이 조상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라는, 16개국 참전 기록. 그 전쟁이 완전한 종지부를 찍지 못해 남긴 유산, DMZ는 세계 각국에서 온 젊은이들의 상처와 비극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냉전의 상징이 되었다. 이러한 까닭에 DMZ가 안고 있는 상처를 치유하고 화해와 공존의 미래로 가는 일에는, 남북을 넘어 세계인의 참여와 소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인들과 함께 DMZ에서 찾는 화해와 평화의 미래 본 프로그램은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DMZ 이야기로, 그동안 DMZ를 한반도 내의 국지적인 문제로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시야로 확장해 보고자 한다. DMZ 접경지대 곳곳에 산재한 전쟁과 냉전의 잔혹함, 분단이 남긴 상처와 비극, 그것을 직접 보고 DMZ에 숨겨진 역사를 알게 된다면, 비록 전쟁과 무관한 외국의 젊은이들이라도 소통과 화해의 가치를 발견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 곧 세계 평화임을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 12부 통일촌 46년, 그들의 통일이야기

    방송일 2019-07-20

    0 89

    DMZ스토리2 제12부 '통일촌 46년, 그들의 통일이야기' 1973년 8월, 민통선에 건립된 ‘통일촌’은 남한도 잘 산다는 걸 북한에 보여주기 위해 정부가 만든 전략촌이다. ‘일하면서 싸우고, 싸우면서 일한다’는 구호아래 이스라엘의 농촌공동체 ‘키부츠’를 모델로 삼아,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나라를 지키자는 취지로 버려진 농지를 개간해 식량증산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마을이다. 통일촌의 첫 입주자는 군 제대 장병 40호, 지역 원주민 40호 등 총 80가구였다. 지금은 민통선 마을들 중 인구도 가장 많고 또 가장 번성한 마을이 됐다. 더불어 통일 정보화마을, DMZ 세계화마을 등으로 발전하며 평화통일 거점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그런데 입주 초기, 20여년 만에 다시 돌아오게 된 실향 원주민들도 그렇지만 군대를 제대하고 들어온 이들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 고향이 전국적이다. 공동체로 뭉쳐지기까지의 과정이 농토를 일구는 일만큼이나 쉽지 않았을 터. 초기에는 풍속과 풍습, 언어, 개인기질 등 여러 이질감으로 인해 심각한 갈등을 빚었다고 한다. 그러나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이질문화들은 상호 동화 흡수되면서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어 냈다고 하는데... 그들은 긴 세월 어떻게 소통하고 화합했을까? 그리고 서로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었을까? 에서는 46년 긴 세월을 견디며 오늘의 ‘통일촌’을 만들어내기까지 통일촌 사람들의 통일이야기를 들어본다. 어쩌면 그들이 한 걸음 한 걸음 쌓아올린 통일의 역사가 머지않아 다가올 한반도 통일의 밑거름이 될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 11부 유라시아로 가는 계단 동해 북부선

    방송일 2019-07-13

    0 106

    일제강점기 일본은 우리나라 자원 수탈을 위해 함경남도 안변역에서 동해안을 따라 부산까지 연결하는 철로를 놓았다. 그러던 중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고 양양이 남북으로 갈리면서 부산까지 연결하려던 동해북부선은 강릉까지도 연결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그 후로 70년이 지나 2018년 4월, 남북한의 두 정상은 판문점에서 만나 한반도에 더 이상의 전쟁은 없을 것이며 우리의 하늘과 땅, 바다에서 이어질 평화를 약속했다. 그리고 부산에서 기차타고 시베리아 대륙을 지나 유럽까지 가는 꿈을 실현시키겠다고 선언했다. 남북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잇는 가장 최적의 노선인 ‘동해선’. 하지만 이대로라면 부산, 서울에서 출발한 열차는 이북으로 가지 못하고 발길을 멈춰야 한다. 철로가 강릉에서 끊겨 더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끊어진 동해북부선 구간은 강릉에서 속초, 제진까지 총 110km에 이르는데 정치적,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철로 연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미국의 대북 제재에 막혀 갑갑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 주저앉지 않고 자주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시민들의 의지가 모여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끊어진 동해북부선을 우리의 손으로 잇겠다는 운동이 서울과 강릉, 부산에서 일어나고 있다. 동해북부선 건설에 필요한 침목과 기금 마련을 위해 십시일반 정성을 모으고 있는 이들. 평화 통일을 제 손으로 앞당기고자 하는 시민들의 열망이 이곳 DMZ에 모여든다. 그리하여 110km 구간 조기착공이 이루어지는 그날, 평화를 바라는 염원을 담은 침목이 놓여진 동해북부선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향하는 ‘철의 실크로드’ 중에 가장 빛나는 대목이 될 것이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