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활인구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생활인구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생활인구는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인구 개념으로 행정안전부에서는 생활인구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인구정책을 수립할 경우, 이를 지방교부세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인구의 특색을 바탕으로 강원도 지역의 권역을 새로 설정하고, 지역간 연계 사업의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앞에서 살펴본 권역 분류를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한 생활인구 권역은 모두 6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생활인구 권역은 지역의 주요 생활권과 생활인구의 수와 체류 유형, 관광벨트를 연계하여 설정됩니다.
먼저 영서북부 권역은 화천군, 양구군, 춘천시, 홍천군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은 춘천시를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됩니다.
또한 관광 측면에서도 춘천시를 거점으로 해당 지역을 연계하여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서북부 지역은 대체적으로 관광 체류인구 중 당일치기형 관광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영서남부 지역은 원주시를 중심으로 횡성군, 영월군이 포함돼 있습니다.
원주시는 강원 남부권의 중심지로 자연스럽게 횡성군과 영월군의 생활권이 원주시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영서남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관광객 수가 많지 않고, 체류일수가 길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영동설악 지역은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에서는 속초의 상권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속초시를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돼 있습니다.
또한 설악산이라는 관광 자원도 공유하고 있는 지역안데, 인제군의 경우 서쪽으로는 춘천시, 동쪽으로는 속초시와 접하고 있기에 생활권이 동서로 나뉘는 요인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인해 영동권의 접근이 쉬워졌고, 같은 관광자원을 공유하는 측면에서 영동설악권으로 분류됩니다.
강릉평창 권역을 보면, 강릉시는 동해안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강원도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인프라가 가장 발달돼 있습니다. 평창군은 서쪽으로는 원주, 동쪽으로는 강릉 생활권으로 구성돼 생활권의 측면에 있어서는 동, 서로 나뉘지만, 체류인구 관점에서 보았을 때 주요 관광지는 동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영동남부 지역은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은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체류인구 통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체류인구 수가 적은 지역입니다.
생활권으로 분류하였을 때, 동해-태백-삼척간 방문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생활권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선군 생활권은 원주, 태백, 동해, 삼척으로 분산됩니다.
철원 권역을 보면, 철원군 인구는 주로 서쪽(철원읍, 동송읍, 갈말읍, 김화읍)에 밀집되어 있기에 중심지는 서쪽을 기반으로 합니다.
철원의 중심지에서는 강원도보다 경기도(특히 포천)로 교통 접근성이 더 좋으며, 남쪽 포천시 인구(약 14만)가 동쪽 화천군 인구(약 2만)보다 많기에 자연스럽게 생활권은 경기도로 형성돼 있습니다.
철원군의 방문자 중 강원도 내에서 방문하는 비율이 9%로 가장 낮은 지역이기도 합니다.
또한 체류인구의 특성에서도 다른 지역과 다르게 10월 체류인구가 가장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타 계절 대비 가을 관광 수요가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합니다.
최근 워케이션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지자체별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입니다.
강원연구원은 이에따라 기존의 1개 시·군에서 추진 중인 워케이션 사업을 생활인구 권역으로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강원도 워케이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른 시, 도와의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겁니다.
또 지역간 통합패스(pass)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현재 강원도에서도 각 시, 군별로 여행자를 위한 통합패스를 운영 중에 있는데, 이를 확대하여 권역간 연계를 통한 통합패스 구축이 필요하며 시·군별 자체 패스가 아닌 지역간 통합패스가 구축된다면, 규모의 경제가 실현 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