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기동.5> 올림픽 바가지 요금.."또 뒷북 대응"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G1뉴스에서는 평창 올림픽의 최대 오점인 민간 숙박시설의 바가지 요금의 구조적 원인과 함께, 숙박협회 간부의 비리 의혹을 집중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바가지 요금이 판치고, 숙박협회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을 때, 행정 당국은 과연 무엇을 하고 있었는 지 들여다봤습니다.

취재 결과, 아니나 다를까, 강원도나 강릉시의 대응은 늘 한발 늦었고, 그러다보니 효과도 거두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먼저, 김도환 기잡니다.

[리포터]
지난해 5월, 강원도는 바가지 요금을 잡겠다며 숙박업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숙박 대행사와 브로커 등이 한껏 달구어 놓은 시장은 좀처럼 식지 않았습니다.

강원도는 다시 7월쯤, '가격 상한가'라는 특단의 처방을 내놨습니다.

3성급 숙박업소의 싱글룸을 '22만 2천원'으로 정했는데,

강제력도 없고, 현실과 맞지 않아 괜한 반발만 샀습니다.

이후 업계의 자정 결의대회도 잇따랐지만, 방값 무서워 올림픽 구경 안간다는 여론은 더 거세졌습니다.

강릉시는 10월에야, 빈 방과 가격 정보를 안내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했습니다.

소비자와 숙박업소를 직접 연결하는 통합 콜센터 1330도 11월 30일에야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세무,위생,건축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단속에 나서며, 업계를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이면, 이미 숙박요금은 진정세에 접어들었고, 오히려 손님이 안 와서 값을 경쟁적으로 내리기 시작한 때였습니다.

게다가, 일본과 중국 관광객이 생각보다 많이 모이지 않아, 대규모 예약 부도와 공실 사태까지 겹쳤습니다.

[인터뷰]
"숙박업소를 선점해서 계약하는 것은 패키지 판매의 목적으로 예약을 합니다. 그 패키지 상품이 자국민에게 판매가 되어야 하는데 일본이나 중국에서..그게 안돼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지난해 12월말, 최명희 강릉시장은 숙박 요금 안정화를 위한 자정 노력에 감사한다며, 지역의 숙박업주 천여 명에게 감사 서한문을 보냈는데, 당시 지역 숙박업소의 예약률은 30%에 불과했습니다.

◀Stand-up▶
"업계에서는 조직위 등 올림픽 관련 기관이 대규모로 방을 잡아 놓고, 대회 직전 취소한 사례가 많다며, 가격 상승과 공실 사태의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G1뉴스 김도환입니다.
김도환 기자 dohwank@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