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산불.6> 인공조림 중심 정책 개편 '시급'
2022-04-08
조기현 기자 [ downckh@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동해안 산불 한 달을 맞아 산림 피해를 줄이는 해법을 찾아보는 기획보도 순서.
오늘은 인공조림 중심의 산림 복원 정책의 한계와 체계적인 숲가꾸기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조기현 기자입니다.
[리포터]
지난 2000년 산불이 발생했던 고성군 죽왕면의 한 야산에서 의미있는 실험이 진행중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존의 소나무림을 바람 방향에 맞춰 모자이크 형태로 벌채했습니다.
빼곡한 소나무림을 솎아낸 건데, 이런 방식이 산불 확산을 막을 수 있을 지, 나아가 활엽수를 식재할 수 있을 지 연구하는 겁니다.
[인터뷰]
"특히, 활엽수림은 소나무보다 양분이라든지 수분의 요구도가 더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척박한 지역에 활엽수림을 적용할 수 있는 그런 연구가 되겠습니다."
경제수종인 소나무 중심의 빽빽한 나무심기 정책이 산불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때문에 최근에는 솎아베기와 가지치기 등 숲가꾸기 사업을 확대해 나무의 밀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솎아베기는 목재를 얻기 위해 평균 4~5m 간격을 두는데, 이를 6~7m까지 넓히자는 겁니다.
중간중간 나무를 벌채해 경제조림의 효과도 얻고, 산불의 확산 역할을 하는 연료 물질도 줄이자는 취지입니다.
특히, 빽빽한 산림에서는 진화 헬기가 뿌려주는 물이 나뭇잎에 걸려 지표로 내려가지 못하는데, 이런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산불이 발생해 공중과 지상진화를 동시에 할 경우, 숲가꾸기를 하지 않은 산림은 진화효율이 최대 79%지만, 숲가꾸기를 할 경우 최대 92%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연구됐습니다.
[인터뷰]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에 밀도가 조절이 되는거죠. 그래서 상부에서 (진화헬기로) 물을 뿌려주는 경우에 지표쪽으로 물이 빠르게 전달이 돼서 진화되는데 시간이 절약이 될 수도 있고."
산불 복원을 식재 위주의 인공 조림에서 벗어나 자연 복원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는 이미 여러 논문을 통해 입증됐습니다.
/지난 2000년 정연숙 강원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발표한 논문을 보면,
자연 복원지에서는 산불이 나고 21년이 지난 뒤, 풀과 떨기나무, 작은키나무와 큰키나무 등 전형적인 숲 구조를 갖췄습니다.
반면, 인공 조림지는 숲의 구조를 갖추지 못했고, 큰키나무 비율도 20% 적었습니다.
특히, 자연 복원지에서는 불에 덜 타는 활엽수가 주류를 이루는 천이도 이뤄졌습니다./
물론, 자연 복원지와 인공 조림지를 구분할 수 있는 연구와 논의는 앞으로 더 이뤄져야 합니다.
[인터뷰]
"자연 복원과 인공 조림을 할 때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두가지 방법을 적용했을 때 적용 가능한 입지에 있는 토지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게 더욱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산림청이 새로운 산불 대응 매뉴얼을 만들면서 산불 예방을 위한 숲가꾸기를 포함시키기로 한 만큼, 정책적인 연구도 시급합니다.
G1뉴스 조기현입니다.
동해안 산불 한 달을 맞아 산림 피해를 줄이는 해법을 찾아보는 기획보도 순서.
오늘은 인공조림 중심의 산림 복원 정책의 한계와 체계적인 숲가꾸기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조기현 기자입니다.
[리포터]
지난 2000년 산불이 발생했던 고성군 죽왕면의 한 야산에서 의미있는 실험이 진행중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존의 소나무림을 바람 방향에 맞춰 모자이크 형태로 벌채했습니다.
빼곡한 소나무림을 솎아낸 건데, 이런 방식이 산불 확산을 막을 수 있을 지, 나아가 활엽수를 식재할 수 있을 지 연구하는 겁니다.
[인터뷰]
"특히, 활엽수림은 소나무보다 양분이라든지 수분의 요구도가 더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척박한 지역에 활엽수림을 적용할 수 있는 그런 연구가 되겠습니다."
경제수종인 소나무 중심의 빽빽한 나무심기 정책이 산불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때문에 최근에는 솎아베기와 가지치기 등 숲가꾸기 사업을 확대해 나무의 밀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솎아베기는 목재를 얻기 위해 평균 4~5m 간격을 두는데, 이를 6~7m까지 넓히자는 겁니다.
중간중간 나무를 벌채해 경제조림의 효과도 얻고, 산불의 확산 역할을 하는 연료 물질도 줄이자는 취지입니다.
특히, 빽빽한 산림에서는 진화 헬기가 뿌려주는 물이 나뭇잎에 걸려 지표로 내려가지 못하는데, 이런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산불이 발생해 공중과 지상진화를 동시에 할 경우, 숲가꾸기를 하지 않은 산림은 진화효율이 최대 79%지만, 숲가꾸기를 할 경우 최대 92%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연구됐습니다.
[인터뷰]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에 밀도가 조절이 되는거죠. 그래서 상부에서 (진화헬기로) 물을 뿌려주는 경우에 지표쪽으로 물이 빠르게 전달이 돼서 진화되는데 시간이 절약이 될 수도 있고."
산불 복원을 식재 위주의 인공 조림에서 벗어나 자연 복원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는 이미 여러 논문을 통해 입증됐습니다.
/지난 2000년 정연숙 강원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발표한 논문을 보면,
자연 복원지에서는 산불이 나고 21년이 지난 뒤, 풀과 떨기나무, 작은키나무와 큰키나무 등 전형적인 숲 구조를 갖췄습니다.
반면, 인공 조림지는 숲의 구조를 갖추지 못했고, 큰키나무 비율도 20% 적었습니다.
특히, 자연 복원지에서는 불에 덜 타는 활엽수가 주류를 이루는 천이도 이뤄졌습니다./
물론, 자연 복원지와 인공 조림지를 구분할 수 있는 연구와 논의는 앞으로 더 이뤄져야 합니다.
[인터뷰]
"자연 복원과 인공 조림을 할 때 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두가지 방법을 적용했을 때 적용 가능한 입지에 있는 토지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게 더욱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산림청이 새로운 산불 대응 매뉴얼을 만들면서 산불 예방을 위한 숲가꾸기를 포함시키기로 한 만큼, 정책적인 연구도 시급합니다.
G1뉴스 조기현입니다.
조기현 기자 downckh@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