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평일 오전 7시 10분
앵커 김민곤
해수욕장 예약제? "말도 안돼"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 일찌감치 더위도, 장마도 찾아오면서 동해안 자치단체마다 요즘 고민이 깊습니다.
해수욕장을 열긴 열어야겠는데 방역 대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입니다.

여) 정부는 해수욕장에 예약제를 도입하겠다고 하는데, 예산이나 관리 인력 같은 구체적인 대책도 없을 뿐더러 애시당초 해수욕장 예약제는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먼저 백행원 기잡니다.

[리포터]
평일 오전인데도 바닷가를 찾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진도 찍고, 모래놀이도 즐기는데 마스크 쓴 사람보다 안쓴 사람이 더 많습니다.

해수욕장과 맞붙은 소나무밭엔 벌써 텐트가 빡빡하게 들어찼습니다.

2미터 거리두기는 다른 나라 얘깁니다.

해수욕장 개장 전인데도 이정돕니다.

◀브릿지▶
"해수욕장 개장을 앞둔 동해안 시.군마다 고민이 깊은데 해수부의 방역지침은 현실과 동떨어져있습니다."

정부의 해수욕장 방역 관리 핵심 지침은 예약제입니다.

미리 예약한 사람만 해수욕장에 오라는 건데 현장에서 들어가겠다는 사람을 일일이 다 막을 수 없는 노릇입니다.

미리 예약만 해 놓고 오지 않는 문제도 있어서 동해안 시·군들은 애초에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내놓은 대책이 해수욕장을 규모에 따라 대·중·소형로 구분해 따로 관리하는 겁니다.

도시에 인접하고 연간 이용객이 30만 명 이상인 대형 해수욕장은 가로세로 4m짜리 구획을 만들고, 현장에서 예약을 받아 배정합니다.

30만 명 이하 해수욕장은 종전처럼 사전 예약제를 적용합니다.

하지만 현장 사정 모르긴 마찬가지입니다.

멀리서 동해안까지 찾아온 관광객이 빈 해변을 수소문해 예약한 뒤 나중에 다시 들어오는 것도 말이 안되고,

넓은 백사장에 울타리를 치고 출입을 관리하는 비용과 인력을 감당하기도 어렵습니다.



"예약을 한다는게... 현장에서 예약한다는게 의미가 없지 않습니까? "

취재팀이 동해안 6개 시군에 확인해보니 정부안 대로 예약제를 도입하겠다는 곳은 한 곳도 없었습니다.
G1뉴스 백행원입니다.
백행원 기자 gigs@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