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평일 오전 7시 10분
앵커 김민곤
<망상.3> 송도 모델 적용..'타당한가?'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은 주거단지 중심 개발의 모델로 인천 송도를 들고 있습니다.

송도는 강원도보다 10년 먼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는데요.

송도의 지금 상황은 어떤지 김도운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터]
하늘을 찌를듯한 고층 아파트 숲이 빼곡합니다.

지난 2003년 국내 첫 글로벌 첨단지식서비스 산업도시를 만들겠다며,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송도 국제도시입니다.

인구 19만명, 5천300만㎡ 부지를 16개 구역으로 나눠 각종 국제 업무시설과 주거시설 등을 조성했습니다.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 송도 국제도시의 개발 논리를 망상지구에 적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곳의 상황도 그리 좋지만은 않습니다."

주거시설이 반영돼야 기업이 자연스럽게 유치된다는 동자청의 논리와는 달리 우려했던 모습이 그대로 펼쳐집니다.

수익성이 높은 아파트만 즐비하고, 상업과 업무지구는 이렇다할 만한 기업이 들어오지 않은 상태로 20년 가까이 방치돼 있습니다.

고층 빌딩 입주 업체는 상업시설이나 소규모 기업이 대부분입니다.

최근에는 아파트 미분양도 속출하고 있고, 실거주 외국인도 2%에 불과합니다.

1,3공구인 국제업무단지의 경우 계획됐던 업무시설은 아직도 '추진중' 입니다.

[인터뷰]
"(당시 사업자가) 업무시설과 주거시설을 같이 연계해서 개발하기로 서명을 했어요. 그런데 아무래도 업무시설은 당시로 봐서 수익성이 낮으니까 사업자가 주거사업에 상대적으로 치중을 했었죠."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는, 행정기관인 경자청과 사업 시행자간 합의로 개발 내용을 조율할 수 있도록 할 뿐, 약속 이행에 대한 담보 규정은 없습니다.

기업과 업무시설, 관광시설 유치 등을 나중에 하지 않더라도 강제할 방법이 없다는 얘깁니다.

더구나 송도는 배후도시인 인천이라는 광역시가 접해 있어, 인구가 적은 강원도에 적용하는게 맞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송도와 동해시를 비교하는 것은 처음부터 문제가 있다. 시작점이 잘못됐다. 주택단지를 먼저 통해서 기반사업을 조성하겠다는 것은 결국 그것이 되면 뒤에 것(남은 사업)은 할 가능성이 없어지고요."

동자청이 제시한 송도 모델을 보더라도 망상지구 개발에 대한 우려와 걱정은 여전히 남습니다.
G1뉴스 김도운입니다.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