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최신뉴스
평일 오전 7시 10분
앵커 김민곤
늘어나는 노인일자리, "관리 대책 시급"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G1뉴스에서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를 보도해 드렸는데요.

사업장에서 다친 노인일자리 노동자가 계약서와 다른 업무를 했던 것으로 취재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현실을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은 허술했습니다.
보도에 정창영 기자입니다.


[리포터]
키만큼 쌓인 우편물을 옮깁니다.

트럭에 우편물을 싣기도 합니다.

A 씨가 노인일자리에 참여해 우체국에서 하던 일입니다.

공직에서 퇴직한 A 씨는 '시니어 공공행정업무 지원단'이라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했습니다.

계약서상 A 씨의 역할은 '취약계층 우체국 이용 지원과 시설관리 및 행정서비스 지원'이라고 명시돼 있습니다.

하지만 계약과 달리 A 씨는 우체국에서 육체 노동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체국은 지침에 따라 업무를 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관련 지침에 '우편 접수방법 안내와 등기 라벨지 부착' 조항이 나오는데,

A 씨가 하던 우편 분류와 상하차 작업을 '등기 라벨지 부착'의 연속 업무로 봤다는 겁니다./

사전에 A 씨의 업무가 적정했는지 점검할 수는 없었을까.

A 씨는 춘천시가 출자출연해 만든 노인일자리 사업 기관과 계약을 체결했고,

업무는 수요가 있는 우체국에서 했습니다.

관리감독이 느슨할 수 있었다는 얘기인데,

춘천 노인일자리 사업 기관은 정기적으로 교육과 감독을 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고와 관련해서는 "노동자가 업무에 관해 불만을 말하지 않아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A 씨는 일자리 유지를 위해 불만을 표출하기 어려웠다고 말합니다.

◀I N T /음성변조▶
"(면담 이후에) 내일 또 그 직원들을 또다시 만날 건데 그거 못하겠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안됐다고 합니다. "

부족한 관리 인력도 문제입니다.

춘천의 경우 88곳에서 모두 198명의 노인이 일하고 있지만, 이들의 안전을 확인할 직원은 단 두 명에 불과합니다.

노인 일자리 사고는 전국적으로 지난 2018년 964건에서 2021년 1,762건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고령화로 노인 일자리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급해 보입니다.
G1뉴스 정창영입니다."
정창영 기자 window@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