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오전 10시 10분
앵커 이가연
정부, 동해항 미세먼지 뒷짐..특례로 돌파
2024-01-10
송혜림 기자 [ shr@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무연탄과 시멘트 등 분진화물을 많이 처리하는 동해항 주변은 늘 미세먼지에 노출돼 있습니다.
주민들의 피해도 적지 않은데요.
하지만 정부의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에서 빠져 있어 제대로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실정입니다.
송혜림 기자입니다.
[리포터]
동해항 인근 송정동 일대의 대기질 문제는 오래된 골칫거리입니다.
동해항은 시멘트와 모래, 무연탄 등 연평균 2천2백만 톤의 '분진화물'을 처리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먼지 등이 주변 대기를 오염시키는 겁니다.
(음성변조)
"가장 침해받는게 송정동 주민들이죠. 송정동 주민들하고 효가동으로도 영향이 있는데. 그게 지금까지 대안을 만들어도 자구책이 발생하지 않고 그대로 (문제점이) 유지되는 그런 입장이에요."
지난 1년 간 동해항 일대의 미세먼지 농도는 도심보다 41% 높았고, 초미세먼지도 28% 더 높았습니다.
강원도 전체 평균과 비교하면 무려 60% 가까이 더 높습니다.
대표적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배출량은 전국 항만 중 7번째로 많은 데도,
국가가 관리하는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동해항의 대기오염 상태가 연간 처리 물동량 대비 미세먼지 배출량 등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고,
항만 작업을 할때나 하지 않을 때나 오염도에 차이가 없어 항만에 의한 오염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게 이윱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피해 호소에 동해시가 나섰습니다.
◀ S /U ▶
"동해시는 최근 관련용역을 마치고 이를 근거로 정부 설득에 나선 가운데,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의 특례 반영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으로 분류해 체계적인 관리와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송정동, 북평동 주민들은 일상생활에서 빨래도 제대로 못하고 김장독도 열어놓지 못하고요. 건강이 물론 시급한 문제죠. 다른 울산이나 당진처럼 공업도시에 있는 대기관리권역으로 빨리 지정하는 것이(필요합니다.)"
특별자치도 특례를 통한 동해시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G1뉴스 송혜림입니다.
무연탄과 시멘트 등 분진화물을 많이 처리하는 동해항 주변은 늘 미세먼지에 노출돼 있습니다.
주민들의 피해도 적지 않은데요.
하지만 정부의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에서 빠져 있어 제대로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실정입니다.
송혜림 기자입니다.
[리포터]
동해항 인근 송정동 일대의 대기질 문제는 오래된 골칫거리입니다.
동해항은 시멘트와 모래, 무연탄 등 연평균 2천2백만 톤의 '분진화물'을 처리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먼지 등이 주변 대기를 오염시키는 겁니다.
(음성변조)
"가장 침해받는게 송정동 주민들이죠. 송정동 주민들하고 효가동으로도 영향이 있는데. 그게 지금까지 대안을 만들어도 자구책이 발생하지 않고 그대로 (문제점이) 유지되는 그런 입장이에요."
지난 1년 간 동해항 일대의 미세먼지 농도는 도심보다 41% 높았고, 초미세먼지도 28% 더 높았습니다.
강원도 전체 평균과 비교하면 무려 60% 가까이 더 높습니다.
대표적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배출량은 전국 항만 중 7번째로 많은 데도,
국가가 관리하는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동해항의 대기오염 상태가 연간 처리 물동량 대비 미세먼지 배출량 등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고,
항만 작업을 할때나 하지 않을 때나 오염도에 차이가 없어 항만에 의한 오염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게 이윱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피해 호소에 동해시가 나섰습니다.
◀ S /U ▶
"동해시는 최근 관련용역을 마치고 이를 근거로 정부 설득에 나선 가운데,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의 특례 반영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항만대기질 관리구역'으로 분류해 체계적인 관리와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송정동, 북평동 주민들은 일상생활에서 빨래도 제대로 못하고 김장독도 열어놓지 못하고요. 건강이 물론 시급한 문제죠. 다른 울산이나 당진처럼 공업도시에 있는 대기관리권역으로 빨리 지정하는 것이(필요합니다.)"
특별자치도 특례를 통한 동해시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G1뉴스 송혜림입니다.
송혜림 기자 shr@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