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오전 10시 10분
앵커 이가연
<폐교.1> 마을의 중심에서 흉물로.. 방치된 폐교
2024-09-20
박성준 기자 [ yes@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인구 유출과 저출산 여파로 도내 학생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특히, 농어촌과 산간벽지 학교는 입학생이 없어, 이미 폐교했거나 폐교를 앞둔 곳이 많은데요.
학교가 문을 닫은 이후 지역민을 위한 시설로 바뀐 곳이 있는가 하면, 그대로 방치된 곳도 적지 않습니다.
G1 방송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도내 폐교 실태를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박성준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터]
아이들의 웃음소리로 가득했던 교정이 텅 비었습니다.
금이 간 외벽이 황량해 보이고, 자물쇠는 굳게 닫혀 녹이 슬었습니다.
이제는 아무도 찾지 않는 곳 폐교.
추억을 넘어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학교가 사라지면서 마을도 활력을 잃었습니다.
[인터뷰]
"아주 서운하죠 뭐 빈집 같아 옛날엔 여기에 애들이 많았기 때문에 여기 길 위에 북적북적 거리고 그랬는데 지금 한 사람도 없어."
/지난 1981년부터 현재까지 도내에서 폐교된 학교는 4백82곳,
이중 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2백91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급속한 수도권 인구 유입과 저출산이 겹치면서 소규모 학교가 늘었고,
정부가 교육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위해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을 펼친 결괍니다.
◀브릿지▶
"문제는, 폐교 이후의 재산을 관리하는 대책이 병행되지 못했다는 건데, 폐교 재산 관리를 위한 특별법은 지난 1999년에야 제정됐습니다."
/현재 폐교 이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학교는 59곳.
면적으로는 86만 제곱미터, 축구장 120개 규몹니다./
장기간 방치되면서 철거나 수리비 부담이 생기는 등 매년 유지 관리에만 수십억 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인터뷰]
"저희가 이제 유지 관리는 교육지원청에서 매년 제초 작업부터 시작해서 시설물 점검을 통해서 노후된 경우에는 철거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지를 하고 그렇게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전망도 어둡습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내년에만 문을 닫는 도내 초등학교는 6곳.
한때 마을 공동체 중심 역할을 하던 폐교의 정상화는 불가능하더라도,
지역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는 활용 방안 마련은 시급해 보입니다.
G1 뉴스 박성준입니다.
*본 보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인구 유출과 저출산 여파로 도내 학생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특히, 농어촌과 산간벽지 학교는 입학생이 없어, 이미 폐교했거나 폐교를 앞둔 곳이 많은데요.
학교가 문을 닫은 이후 지역민을 위한 시설로 바뀐 곳이 있는가 하면, 그대로 방치된 곳도 적지 않습니다.
G1 방송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도내 폐교 실태를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박성준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터]
아이들의 웃음소리로 가득했던 교정이 텅 비었습니다.
금이 간 외벽이 황량해 보이고, 자물쇠는 굳게 닫혀 녹이 슬었습니다.
이제는 아무도 찾지 않는 곳 폐교.
추억을 넘어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학교가 사라지면서 마을도 활력을 잃었습니다.
[인터뷰]
"아주 서운하죠 뭐 빈집 같아 옛날엔 여기에 애들이 많았기 때문에 여기 길 위에 북적북적 거리고 그랬는데 지금 한 사람도 없어."
/지난 1981년부터 현재까지 도내에서 폐교된 학교는 4백82곳,
이중 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2백91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급속한 수도권 인구 유입과 저출산이 겹치면서 소규모 학교가 늘었고,
정부가 교육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위해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을 펼친 결괍니다.
◀브릿지▶
"문제는, 폐교 이후의 재산을 관리하는 대책이 병행되지 못했다는 건데, 폐교 재산 관리를 위한 특별법은 지난 1999년에야 제정됐습니다."
/현재 폐교 이후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학교는 59곳.
면적으로는 86만 제곱미터, 축구장 120개 규몹니다./
장기간 방치되면서 철거나 수리비 부담이 생기는 등 매년 유지 관리에만 수십억 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인터뷰]
"저희가 이제 유지 관리는 교육지원청에서 매년 제초 작업부터 시작해서 시설물 점검을 통해서 노후된 경우에는 철거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지를 하고 그렇게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전망도 어둡습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내년에만 문을 닫는 도내 초등학교는 6곳.
한때 마을 공동체 중심 역할을 하던 폐교의 정상화는 불가능하더라도,
지역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는 활용 방안 마련은 시급해 보입니다.
G1 뉴스 박성준입니다.
*본 보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박성준 기자 yes@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