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늘어지는 탄핵 정국..'트라우마' 속출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12.3 계엄과 탄핵 정국이 열흘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도 하루하루 급변하는 정가 소식에 귀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가 극한의 대치와 답답한 상황이 계속되면서 심리적 고통과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윤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터]


"도대체 2시간 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습니까? 질서 유지를 위해 소수의 병력을 잠시 투입한 것이 폭동이란 말입니까?"

한밤중 터진 그 2시간 짜리 비상 계엄 사태에 45년 전 같은 일을 겪은 한 시민은 잠도 편히 못 자고,

[인터뷰]
"계속 자다가 깨다가 자다가 깨다가. 무섭죠. 그때는 아주 저희 가까운 데까지 계엄군이 쳐내려오고 그랬으니까.."

휴학 중인 대학생은 화가 나 거리로 뛰쳐 나왔습니다.

[인터뷰]
"집 안에서는 보통 평화를 느끼잖아요. 근데 시국이 이렇게 되고 나서부터는 집 안에서도 분노나 불안이 계속 차올라서.."

비상 계엄 여파 이후 열흘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탄핵 정국 속에,

국민 다수가 공감하고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해명이나 설득력 있는 조처가 지연되면서,

이런 '계엄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여론조사 기관에 따르면 계엄 이후 불면이나 분노, 우울감 등을 경험했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 약 7명에 달했습니다./



"이렇게 국민 전체에게 엄청난 충격을 줄 수
있는 사건은 굉장히 드물죠. 거의 모든 사람들
이 우울감이나 박탈감, 불안과 공포에 휩싸여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갈등과 폭력 등 격한 장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불안 심리는 정치적 성향이나 개인이 처한 상황과는 별개로 사회 전반으로 퍼져 나가는 양상입니다.

[인터뷰]
"다 같은 마음일 것 같아요. 시민들도 그렇고
많이 불안하죠. 이 사태를 빨리 좀 해결해 줬으
면 좋겠어요. 다 같이. 우리나라 국민들이잖아
요."

무장 군인의 국회 진입이나 대통령 탄핵 부결 등을 많은 사람이 실시간으로 지켜본 만큼,

정돈되지 않은 국면이 지속될 경우 집단적인 불안정 심리가 가중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G1뉴스 윤수진입니다.

<영상취재 이락춘 / 디자인 이민석>
윤수진 기자 ysj@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