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기획보도.3> 경기장, 현실적 대안 '시급' R
2013-10-03
이종우 기자 [ jongdal@g1tv.co.kr ]
[앵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활용 대책을 점검하는 기획보도 순섭니다.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현실적인 방안은 과연 무엇인지 짚어봅니다.
보도에 이종우 기잡니다.
[리포터]
인천광역시는 내년 9월 개최되는 아시안 게임을 위해 경기장 16곳을 새로 건설했습니다.
조성 비용만 1조 3천억원이 넘습니다.
문제는 대회 개최 이훕니다.
인천시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신설 경기장 가운데 2군데만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나머지는 운영하면 적자라는 겁니다.
"아시안 게임을 유치하기 위해 경기장을 인구대비 너무 많이 건설했기때문에 앞으로 유지관리비가 상당히 문제가 될 걸로 예상이 되는데요"
강원도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특히, 알펜시아 슬라이딩 종목과 강릉 피겨.숏트랙 경기장은 올림픽 유산으로 남게 돼, 수익은 거의 없고 막대한 운영.관리비 부담만 지자체가 떠안게 될 공산이 큽니다.
"때문에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활용을 위한 보다 치밀하고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경기장 사후 관리는 지자체가 맡기엔 한계가 있는 만큼, 올림픽 체육공단 설립을 통한 통합관리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서울 하계올림픽처럼 대회 수익금으로 공단을 설립한 뒤, 동계 국가대표 훈련장 운영 등 동계경기장에 대한 사후 관리를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겁니다.
관건은 정부 설득인데,
전문가들은 알펜시아 스포츠지구내 한국체육대학 동계종목 캠퍼스 유치와, 올림픽 트레이닝 센터 설립 등을 통해 정부 관리의 명분을 꾸준히 쌓아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류종현 /강원발전연구원"
또, 스피드 스케이팅 등 일부 경기장은 민자 유치나 매각을 염두에 두고 있는데, 이를 위해선 다양한 수익모델 창출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G1뉴스 이종웁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활용 대책을 점검하는 기획보도 순섭니다.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현실적인 방안은 과연 무엇인지 짚어봅니다.
보도에 이종우 기잡니다.
[리포터]
인천광역시는 내년 9월 개최되는 아시안 게임을 위해 경기장 16곳을 새로 건설했습니다.
조성 비용만 1조 3천억원이 넘습니다.
문제는 대회 개최 이훕니다.
인천시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신설 경기장 가운데 2군데만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나머지는 운영하면 적자라는 겁니다.
"아시안 게임을 유치하기 위해 경기장을 인구대비 너무 많이 건설했기때문에 앞으로 유지관리비가 상당히 문제가 될 걸로 예상이 되는데요"
강원도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특히, 알펜시아 슬라이딩 종목과 강릉 피겨.숏트랙 경기장은 올림픽 유산으로 남게 돼, 수익은 거의 없고 막대한 운영.관리비 부담만 지자체가 떠안게 될 공산이 큽니다.
"때문에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활용을 위한 보다 치밀하고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경기장 사후 관리는 지자체가 맡기엔 한계가 있는 만큼, 올림픽 체육공단 설립을 통한 통합관리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서울 하계올림픽처럼 대회 수익금으로 공단을 설립한 뒤, 동계 국가대표 훈련장 운영 등 동계경기장에 대한 사후 관리를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겁니다.
관건은 정부 설득인데,
전문가들은 알펜시아 스포츠지구내 한국체육대학 동계종목 캠퍼스 유치와, 올림픽 트레이닝 센터 설립 등을 통해 정부 관리의 명분을 꾸준히 쌓아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류종현 /강원발전연구원"
또, 스피드 스케이팅 등 일부 경기장은 민자 유치나 매각을 염두에 두고 있는데, 이를 위해선 다양한 수익모델 창출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G1뉴스 이종웁니다.
이종우 기자 jongdal@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