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G1 논평> 경기장 사후 활용 "우왕좌왕" R
2013-10-13
김형기 기자 [ hgk@g1tv.co.kr ]
[앵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4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기장 건설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장을 착공하기 전에, 대회 이후 경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해 실시설계에 미리 반영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G1논평 들어보겠습니다.
[리포터]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신설되는 경기장은 모두 6갭니다.
이중 현재 사후 활용 방안과 관리 주체를 놓고 시끄러운 데는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장과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알펜시아 슬라이딩 경기장 3곳입니다.
경기장을 짓는 건, 정부가 거의 책임을 져주지만, 대회 이후 경기장의 관리와 운영은 강원도나 해당 지자체가 맡도록 돼 있는데, 문제는 세 경기장의 관리와 운영비가 만만치 않다는 겁니다.
그나마, 슬라이딩 경기장은 강원도가 떠맡겠다고 나섰지만, 스피드 스케이팅장과 피겨.쇼트트랙 경기장은 강원도와 강릉시가 서로 못 맡겠다며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맡는 즉시 적자가 뻔하기 때문입니다.
일의 순서가 잘못 돼도 한참 잘못된 것 같습니다.
경기장 착공 전에 사후활용 방안이 미리 나오고, 이를 실시설계에 반영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강원도는 아직 갈피를 못 잡고 있습니다.
자칫 이러다간 경기장을 지어놓고, 나중에 강원도와 강릉시가 막대한 운영비 부담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내년 9월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는 인천도 사후 활용에 대한 철저한 고민 없이 경기장을 무려 16개나 지어놓고 벌써부터 적자 운영을 걱정하고 있는데, 결코 남의 일이 아닙니다.
강원도의 경우, 경기장을 착공하지 않은 만큼, 아직 늦지는 않았습니다.
이제라도, 동계올림픽 경기장을 비즈니스 모델로 갈 건지, 아니면 올림픽 유산과 시민들의 스포츠.레저공간이라는 공공재로 활용할 건지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주장까지 합니다.
사후 관리와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경기장을 아예 가건물로 지어 대회 폐막과 함께 철거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는 겁니다.
올림픽 성공개최 못지 않게, 대회 이후 경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도 중차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강원도는 더 이상 우왕좌왕할 것이 아니라, 각계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아 차선책이라도 서둘러 찾아야 할 시점입니다. 결코,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G1논평이었습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4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기장 건설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장을 착공하기 전에, 대회 이후 경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해 실시설계에 미리 반영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G1논평 들어보겠습니다.
[리포터]
평창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신설되는 경기장은 모두 6갭니다.
이중 현재 사후 활용 방안과 관리 주체를 놓고 시끄러운 데는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장과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알펜시아 슬라이딩 경기장 3곳입니다.
경기장을 짓는 건, 정부가 거의 책임을 져주지만, 대회 이후 경기장의 관리와 운영은 강원도나 해당 지자체가 맡도록 돼 있는데, 문제는 세 경기장의 관리와 운영비가 만만치 않다는 겁니다.
그나마, 슬라이딩 경기장은 강원도가 떠맡겠다고 나섰지만, 스피드 스케이팅장과 피겨.쇼트트랙 경기장은 강원도와 강릉시가 서로 못 맡겠다며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맡는 즉시 적자가 뻔하기 때문입니다.
일의 순서가 잘못 돼도 한참 잘못된 것 같습니다.
경기장 착공 전에 사후활용 방안이 미리 나오고, 이를 실시설계에 반영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강원도는 아직 갈피를 못 잡고 있습니다.
자칫 이러다간 경기장을 지어놓고, 나중에 강원도와 강릉시가 막대한 운영비 부담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내년 9월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는 인천도 사후 활용에 대한 철저한 고민 없이 경기장을 무려 16개나 지어놓고 벌써부터 적자 운영을 걱정하고 있는데, 결코 남의 일이 아닙니다.
강원도의 경우, 경기장을 착공하지 않은 만큼, 아직 늦지는 않았습니다.
이제라도, 동계올림픽 경기장을 비즈니스 모델로 갈 건지, 아니면 올림픽 유산과 시민들의 스포츠.레저공간이라는 공공재로 활용할 건지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주장까지 합니다.
사후 관리와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경기장을 아예 가건물로 지어 대회 폐막과 함께 철거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는 겁니다.
올림픽 성공개최 못지 않게, 대회 이후 경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도 중차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강원도는 더 이상 우왕좌왕할 것이 아니라, 각계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아 차선책이라도 서둘러 찾아야 할 시점입니다. 결코,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G1논평이었습니다.
김형기 기자 hgk@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