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DLP>"귀한 명태 왜 사라지나 했더니.."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국민 생선이었던 '명태'가 남획 등으로 씨가 마르면서, 해양수산부가 지난 2014년부터 9억원을 들여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습니다.

명태 복원을 위해 지난 2월부터는 바다속 가두리 양식이 국내 처음으로 시도됐는데요.

가두리에 방류한 명태 절반 이상이 사라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홍서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항구 선착장에서 200m 가량 떨어져 있는 바다 가두리 양식장.

곳곳에 명태 아가미가 나뒹굴고,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명태도 보입니다.

지난 2월 해양수산부와 강원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 등이 국내 최초로 명태 가두리 양식을 시작한 현장입니다.

◀브릿지▶
"이 곳에는 모두 4천 500마리의 명태가 방류됐지만, 지금은 2천 마리 정도만 남은 상탭니다."

취재팀이 연구팀과 공동으로 카메라를 설치해 살펴봤습니다.

밤이 되자 윤기 있는 갈색 털을 가진 동물이 바다로 들어갑니다.

잠시 뒤 물고기를 물고 나와 먹기 시작합니다.

얼마나 지났을까. 어른 팔뚝만한 물고기를 다 먹어 치우고 유유히 퇴장합니다.

명태를 잡아먹는 수달입니다.

[인터뷰]
"옛날부터 몇 마리씩 다녔어요. 있어요 여기에. 항내에도 헤엄치고 다니는 것도 보였고 가끔 가다가 그물에도 한 마리씩 걸려 죽거든요."

가두리 양식을 하던 연구팀이 복병을 만났습니다.

어미 명태까지 성장시켜 종묘 생산을 계획했지만, 수달이 나타난 겁니다.

범인은 찾았지만 포획도 쉽지 않습니다.

수달이 천연기념물인 데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수달을) 자연 상태에서 보호를 해야 되는 상황이라서 저희가 명태 쪽에 그물을 다시 제작해서 수달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촘촘하게 그물 작업을 하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가두리 양식으로 명태의 사육 기술 정보와 생태적 특성 자료를 축적한다는 연구팀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G1뉴스 홍서표입니다.
홍서표 기자 hsp@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