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 바로가기
최신뉴스
침체된 경제..활력 기대감
2025년 04월 07일(월)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강민주
가뭄에 식탁 물가 상승 조짐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밥상 물가가 악재 연속입니다.
AI 여파로 한번 오른 계란값은 떨어질 기미가 안 보이는데, 때이른 더위에 가뭄까지 겹쳤습니다.

채소류를 중심으로 벌써 가격이 들썩이기 시작해, 가뭄이 계속되면 식탁물가는 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청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물건을 들었다 놨다, 장을 보러 온 주부들이 채소 진열대 앞에서 한참 망설입니다.

가격표를 확인하고 돌아서기도 합니다.

지난 겨울 전국을 휩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계란값은 떨어질 줄 모릅니다.

계란 한판 소비자가격은 6월 현재 평균 8천 750원, 평년과 비교하면 60% 가량 비쌉니다.

[인터뷰]
"지금 오른 가격 전에는 7천원대, 6천원대도 있었어요. 그때도 조금 부담되긴 하지만 그래도 사다먹긴 했었는데, 요즘은 조금 손이 덜 가는 편인 거 같아요."

농.축수산물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기간보다 2.1% 올랐는데, 농축수산물의 소비자물가는 5.9%나 상승했습니다.

◀브릿지▶
"최근엔 때이른 더위에 가뭄까지 겹쳐, 일부 농작물은 이미 값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시금치와 양파는 한달 사이 가격이 27% 이상 올라,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상춧값도 지난달보다 10% 이상 올랐습니다./

생육 초기단계인 고추나 고랭지 배추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가뭄이 계속되면 생육부진 등 수급 불안정이 우려되긴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뷰]
"현재로서는 여파가 지금까진 안 나타나고 있는데, 파종시기가 이 가뭄에, 농산물 파종시기가 겹친다면 작황이 부진해서 (가격) 오름세가 될 경우가 많습니다."

강원도는 가뭄 장기화로 피해가 우려되는 밭작물 채소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양수기 설치 등 물 공급 기반시설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G1뉴스 이청초입니다.
이청초 기자 ccle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