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탈석탄 정책..폐광지 타격
2017-07-26
김기태 기자 [ purekitae@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정부가 속도를 내고 있는 '탈원전 탈석탄' 정책이 도내 폐광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여)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여파에 무연탄의 판로가 막혀, 남아 있는 탄광의 인력 감축과 지역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기태기자입니다.
[리포터]
석탄공사 철암저탄장입니다.
태백 장성광업소에서 생산된 무연탄 40만 천톤이 쌓여있습니다.
인근 삼척 도계 경동광업소도 사정은 마찬가지.
지난해 말까지는 재고가 없었던 무연탄이 판로를 찾지 못하면서 거대한 산을 이루고 있습니다.
[인터뷰]
"현재 팔 데가 없어서 비축되어 있는 석탄은 약 15만톤 정도가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도내 탄광에서 생산된 무연탄이 계속 쌓이고 있는 건 연탄 소비가 준 탓도 있지만,
정부의 '탈 원전 탈 석탄' 정책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그동안 태백과 삼척 도계에서 생산된 무연탄은 대부분 영동과 서천 화력발전소로 옮겨져 매년 23만 5천톤 이상 사용돼 왔습니다.
하지만, 화력발전소마다 목재 펠릿 등으로 연료 전환을 추진하면서 사실상 무연탄 판로가 막힐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태백 장성광업소 960여명, 삼척 도계 860여명의 직원들의 일자리는 물론, 지역 공동화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런 것을 사전에 대비해서 대체산업을 강구해서 각 지역마다 천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그런 대책부터 강구하고 시행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쌓인 재고탄은 약 86만여톤, 천 300억 원 규모입니다.
"지난해 석탄공사 단계적 폐업 추진에 이어 '탈원전 탈석탄' 정책까지 본격화되면서 폐광지역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G1뉴스 김기태입니다."
남)정부가 속도를 내고 있는 '탈원전 탈석탄' 정책이 도내 폐광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여)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여파에 무연탄의 판로가 막혀, 남아 있는 탄광의 인력 감축과 지역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기태기자입니다.
[리포터]
석탄공사 철암저탄장입니다.
태백 장성광업소에서 생산된 무연탄 40만 천톤이 쌓여있습니다.
인근 삼척 도계 경동광업소도 사정은 마찬가지.
지난해 말까지는 재고가 없었던 무연탄이 판로를 찾지 못하면서 거대한 산을 이루고 있습니다.
[인터뷰]
"현재 팔 데가 없어서 비축되어 있는 석탄은 약 15만톤 정도가 쌓여있는 상태입니다."
도내 탄광에서 생산된 무연탄이 계속 쌓이고 있는 건 연탄 소비가 준 탓도 있지만,
정부의 '탈 원전 탈 석탄' 정책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그동안 태백과 삼척 도계에서 생산된 무연탄은 대부분 영동과 서천 화력발전소로 옮겨져 매년 23만 5천톤 이상 사용돼 왔습니다.
하지만, 화력발전소마다 목재 펠릿 등으로 연료 전환을 추진하면서 사실상 무연탄 판로가 막힐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태백 장성광업소 960여명, 삼척 도계 860여명의 직원들의 일자리는 물론, 지역 공동화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런 것을 사전에 대비해서 대체산업을 강구해서 각 지역마다 천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그런 대책부터 강구하고 시행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쌓인 재고탄은 약 86만여톤, 천 300억 원 규모입니다.
"지난해 석탄공사 단계적 폐업 추진에 이어 '탈원전 탈석탄' 정책까지 본격화되면서 폐광지역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G1뉴스 김기태입니다."
김기태 기자 purekita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