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논평> 혁신도시 유치전 조기 점화 "과열 안된다"
2019-05-26
이이표 기자 [ yplee@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 이른바 제2 혁신도시 유치를 놓고 강원도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춘천과 원주, 강릉 등 빅3 도시와 평창군이 일찌감치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다른 시.군들도 가세할 기세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전 시기와 대상지를 어디로 할지, 결정된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일부에선 유치전이 조기 과열되면서 지난 2005년 혁신도시 선정 과정에서 나타났던 부작용이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리포터]
2차 공공기관 이전 사업은 지역 균형발전과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입니다.
첫삽을 뜬지 10년만에 이전을 완료한 원주 혁신도시는 13개 공공기관이 들어서면서 도심의 지형을 바꿔놨습니다.
공공기관 직접 고용 인구만 5천명에, 인구 2만명이 넘는 신도시가 조성됐습니다.
기대 만큼은 아니지만 인구증가와 지역발전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분명합니다.
정부가 이번에 계획하고 있는 2차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120여곳입니다.
지난 2005년 당시, 공공기관 150여곳이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한 것과 비교하면 적지 않은 규모입니다.
이렇다할 성장동력이 없는 상황에서 도내 자치단체들이 추가 이전 사업에 거는 기대는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원주는 혁신도시 완성과 시너지 효과를, 춘천과 강릉, 평창은 균형발전 등을 내세우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문제는 지난 2005년 혁신도시 유치를 둘러싸고 빚어졌던 지역간의 반목과 갈등이 되풀이 될수 있다는 겁니다.
당시 혁신도시에서 탈락한 시.군에선 반발 시위가 잇따랐고, 강원도를 쪼개야 한다는 분도론까지 나오는 등 후폭풍이 거셌습니다.
이번에도 지역간 대결 구도로 흐른다면 지역 갈등과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는 불을 보듯 뻔합니다.
여기에 국회의원 선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정치 쟁점화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은 아직 안갯속입니다.
정부는 올 연말쯤 연구용역이 나오면 이전 대상지와 규모 등을 결정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때문에 지금은 자치단체별로 경쟁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공공기관이 한 곳이라도 더 강원도에 올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땝니다.
더 늦기 전에 강원도가 나서서, 유치 후보도시들과 협의와 조율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강원도의 몫을 키울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G1논평이었습니다.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 이른바 제2 혁신도시 유치를 놓고 강원도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춘천과 원주, 강릉 등 빅3 도시와 평창군이 일찌감치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다른 시.군들도 가세할 기세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전 시기와 대상지를 어디로 할지, 결정된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일부에선 유치전이 조기 과열되면서 지난 2005년 혁신도시 선정 과정에서 나타났던 부작용이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리포터]
2차 공공기관 이전 사업은 지역 균형발전과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입니다.
첫삽을 뜬지 10년만에 이전을 완료한 원주 혁신도시는 13개 공공기관이 들어서면서 도심의 지형을 바꿔놨습니다.
공공기관 직접 고용 인구만 5천명에, 인구 2만명이 넘는 신도시가 조성됐습니다.
기대 만큼은 아니지만 인구증가와 지역발전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분명합니다.
정부가 이번에 계획하고 있는 2차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120여곳입니다.
지난 2005년 당시, 공공기관 150여곳이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한 것과 비교하면 적지 않은 규모입니다.
이렇다할 성장동력이 없는 상황에서 도내 자치단체들이 추가 이전 사업에 거는 기대는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원주는 혁신도시 완성과 시너지 효과를, 춘천과 강릉, 평창은 균형발전 등을 내세우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문제는 지난 2005년 혁신도시 유치를 둘러싸고 빚어졌던 지역간의 반목과 갈등이 되풀이 될수 있다는 겁니다.
당시 혁신도시에서 탈락한 시.군에선 반발 시위가 잇따랐고, 강원도를 쪼개야 한다는 분도론까지 나오는 등 후폭풍이 거셌습니다.
이번에도 지역간 대결 구도로 흐른다면 지역 갈등과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는 불을 보듯 뻔합니다.
여기에 국회의원 선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정치 쟁점화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은 아직 안갯속입니다.
정부는 올 연말쯤 연구용역이 나오면 이전 대상지와 규모 등을 결정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때문에 지금은 자치단체별로 경쟁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공공기관이 한 곳이라도 더 강원도에 올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땝니다.
더 늦기 전에 강원도가 나서서, 유치 후보도시들과 협의와 조율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강원도의 몫을 키울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G1논평이었습니다.
이이표 기자 yple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