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확진자 정보 '제각각'..시민 불안 가중
2020-08-24
최돈희 기자 [ tweetism@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확진자가 나오면 어디에 살고, 언제 어디를 다녀갔는지가 가장 궁금할 겁니다.
당연히 방역과 예방을 위해서인데요, 그래서 각 지자체는 정보와 동선을 일부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공개 수준이나 방식이 제각각이어서 오히려 시민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최돈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춘천시가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는 확진자 정보입니다.
확진자 신상은 국적만 '한국인'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미공개입니다.
대신 확진자가 다녀간 동선은 주소와 상호까지 기재됐습니다.
원주시는 전혀 다릅니다.
확진자 정보는 연령과 성별, 주거지 등 개략적인 정보가 있는데,
동선은 대략적인 행정 구역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개 내용이 정반대인데, 두 자치단체 모두 정부 방침에 따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국가인권위원회에 민원이 들어가다 보니까 (인권위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권고사항으로 간 거예요."
[인터뷰]
"더 이상의 감염 위험이 없는 사업장에 대해선 상호명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지침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강원도가 최근 일선 시군에 보낸 공문입니다.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접촉자 파악이 마무리된 공간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리포터]
같은 지침이지만 적용은 입맛에 맛게 제각각하고 있는 겁니다.
강원도는 매달 지침을 지키는지 확인하겠다고 했지만 시군으로부터 보고를 받아 취합하는 수준입니다.
무더기 확진에 지역 사회 감염까지 번지는 상황에서 불분명하고 일관성 없는 정보 공개는 오히려 불안을 커지게 하고 있습니다.
"동선 확인 중 하고 따로 문자가 없으니까 시민으로서는 불안하죠. 오히려 (동선을) 알려줌으로써 더 조심하고 피해다닐 수 있고.."
[리포터]
여기에, 확진자가 발생하고 서너 시간 뒤에 재난 문자가 오는가 하면,
처음 공개된 동선이 잘못된 동선으로 확인되거나 지역 감염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치단체와 보건소 홈페이지가 먹통이 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어 혼선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G1뉴스 최돈희입니다.
확진자가 나오면 어디에 살고, 언제 어디를 다녀갔는지가 가장 궁금할 겁니다.
당연히 방역과 예방을 위해서인데요, 그래서 각 지자체는 정보와 동선을 일부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공개 수준이나 방식이 제각각이어서 오히려 시민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최돈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춘천시가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는 확진자 정보입니다.
확진자 신상은 국적만 '한국인'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미공개입니다.
대신 확진자가 다녀간 동선은 주소와 상호까지 기재됐습니다.
원주시는 전혀 다릅니다.
확진자 정보는 연령과 성별, 주거지 등 개략적인 정보가 있는데,
동선은 대략적인 행정 구역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개 내용이 정반대인데, 두 자치단체 모두 정부 방침에 따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국가인권위원회에 민원이 들어가다 보니까 (인권위가)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권고사항으로 간 거예요."
[인터뷰]
"더 이상의 감염 위험이 없는 사업장에 대해선 상호명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지침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강원도가 최근 일선 시군에 보낸 공문입니다.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접촉자 파악이 마무리된 공간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리포터]
같은 지침이지만 적용은 입맛에 맛게 제각각하고 있는 겁니다.
강원도는 매달 지침을 지키는지 확인하겠다고 했지만 시군으로부터 보고를 받아 취합하는 수준입니다.
무더기 확진에 지역 사회 감염까지 번지는 상황에서 불분명하고 일관성 없는 정보 공개는 오히려 불안을 커지게 하고 있습니다.
"동선 확인 중 하고 따로 문자가 없으니까 시민으로서는 불안하죠. 오히려 (동선을) 알려줌으로써 더 조심하고 피해다닐 수 있고.."
[리포터]
여기에, 확진자가 발생하고 서너 시간 뒤에 재난 문자가 오는가 하면,
처음 공개된 동선이 잘못된 동선으로 확인되거나 지역 감염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치단체와 보건소 홈페이지가 먹통이 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어 혼선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G1뉴스 최돈희입니다.
최돈희 기자 tweetis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