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집중.2> 폐광지역 반발 예상했을 정부가 '왜'
2022-02-15
김도운 기자 [ helpkim@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석탄 감산에 따른 폐광지역의 반발 보도, 오늘도 이어가겠습니다.
폐광지역 주민들은 정부가 감산을 계획하면서, 지역에는 어떤 대안도 마련하지 않는 것에 분노하고 있는데요.
과거부터 희생만 강요받았다는 소외감과 반감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집중취재, 김도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연탄불로 방 데우고 밥 지어먹던 시절, 연탄은 가장 중요한 연료이자 생존 도구였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대체 에너지가 늘어나면서 외면받는 신세가 됐습니다.
발전용으로 국내산 무연탄을 사용하는 동해화력발전소를 제외하면, 더는 국내에는 석탄을 사용할 소비처가 없습니다.
결국 탄광이 문을 닫는 건 시간 문제인데, 채탄량과 탄광 노동자만 줄여나갈 뿐 그에 따른 생계 대책과 지역 붕괴 문제에 대한 깊은 고민은 없는 실정입니다.
"그 부분은 앞으로 (석탄 소비)수요를 예측해서 한 것이기 때문에...앞으로 계속 협의할 계획에 있습니다. 사측하고 계속 대화하고 있고요."
정부는 폐광시 전업 준비금과 특별 위로금을 지원할 계획이지만, 근본적인 대안은 안 된다는 지적입니다.
1995년 폐특법이 제정된 이후 4조 원의 예산이 폐광지역에 투입됐지만,
도로 만들고 관광지 조성하는 SOC사업에 집중됐을 뿐, 주민들이 체감하는 대체 산업 조성은 이뤄진게 없습니다.
[인터뷰]
"중앙정부 차원에서 무조건적인 감산이 좋은 건 아니거든요. 다른 걸로(산업)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할 때 충분하게 검토를 하고 그 지역에서 수용, 대응이 가능한 구조가 되어 있는가."
폐광지역 주민들은 정부가 대안없는 감산 정책을 추진할 경우, 지역 반발이 거셀 것을 뻔히 알면서도 강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분노하고 있습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석탄 감산에 따른 폐광지역의 반발 보도, 오늘도 이어가겠습니다.
폐광지역 주민들은 정부가 감산을 계획하면서, 지역에는 어떤 대안도 마련하지 않는 것에 분노하고 있는데요.
과거부터 희생만 강요받았다는 소외감과 반감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집중취재, 김도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연탄불로 방 데우고 밥 지어먹던 시절, 연탄은 가장 중요한 연료이자 생존 도구였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대체 에너지가 늘어나면서 외면받는 신세가 됐습니다.
발전용으로 국내산 무연탄을 사용하는 동해화력발전소를 제외하면, 더는 국내에는 석탄을 사용할 소비처가 없습니다.
결국 탄광이 문을 닫는 건 시간 문제인데, 채탄량과 탄광 노동자만 줄여나갈 뿐 그에 따른 생계 대책과 지역 붕괴 문제에 대한 깊은 고민은 없는 실정입니다.
"그 부분은 앞으로 (석탄 소비)수요를 예측해서 한 것이기 때문에...앞으로 계속 협의할 계획에 있습니다. 사측하고 계속 대화하고 있고요."
정부는 폐광시 전업 준비금과 특별 위로금을 지원할 계획이지만, 근본적인 대안은 안 된다는 지적입니다.
1995년 폐특법이 제정된 이후 4조 원의 예산이 폐광지역에 투입됐지만,
도로 만들고 관광지 조성하는 SOC사업에 집중됐을 뿐, 주민들이 체감하는 대체 산업 조성은 이뤄진게 없습니다.
[인터뷰]
"중앙정부 차원에서 무조건적인 감산이 좋은 건 아니거든요. 다른 걸로(산업)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할 때 충분하게 검토를 하고 그 지역에서 수용, 대응이 가능한 구조가 되어 있는가."
폐광지역 주민들은 정부가 대안없는 감산 정책을 추진할 경우, 지역 반발이 거셀 것을 뻔히 알면서도 강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분노하고 있습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