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거리두기 해제..물가상승 자극?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강원도 역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4%대를 보이고 있는데요.

심각한 물가오름세 속에 거리두기 해제가 물가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보도에 모재성 기자입니다.

[앵커]
춘천시 퇴계동의 한 대형마트입니다.

치솟은 물가에 물건을 집었다 내려놨다를 반복합니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물가는 더 가혹합니다.

[인터뷰]
"이것만 사는 게 아니라 여러가지를 사야되니까 그래서 또 조금 사요. 몇 개만 더 사요. 10개 살걸 5개 정도밖에 안 사요.

[인터뷰]
"야채가 좀 많이 오른 것 같고요. 그러다 보니까 좀 많이 안 사고 소분해서 사는 것 같아요. 필요한 양만 조금조금씩.."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를 기록하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고,

강원도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9%로 5개월 연속 4%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강원지역 외식음식 가격동향을 보면, 김밥은 1년 전과 비교해 11.9%, 자장면은 11.8% 올랐고,

삼겹살은 7.1%, 칼국수는 8.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1년 만에 500원 이상 오른 외식음식이 많았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2년여 만에 해제되면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오히려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거리두기 해제로 인해 소비활동이 갑작스럽게 늘어나는 것이 추가적인 물가 상승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경제활동 증가는 소비 등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은 수요와 공급의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는데,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 물가상승 정도는 좀 더 지켜봐야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유와 곡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4%대에서 내려오지 않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은행은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최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로 0.2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G1뉴스 모재성입니다.
모재성 기자 mojs1750@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