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지방시대위원회 출범..기회발전특구 '핵심'
2023-07-10
김형기 기자 [ hgk@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윤석열 정부의 지방정책을 총괄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오늘(10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 발전을 위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핵심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김형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윤석열 정부는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겠다며, 균형발전위원회와 자치분권위원회의 통합을 추진해 왔습니다.
정부 출범 1년여 만에 그 결실인 '지방시대위원회'가 현판식을 갖고 공식 업무에 착수했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시.도가 수립하는 지방시대 계획을 토대로 현 정부의 지방시대 종합계획을 수립해 오는 9월 말쯤 발표할 예정입니다.
지방정부의 계획을 중앙정부가 받아들이는 상향식 발전계획을 통해, 지방 발전을 새롭게 도모하겠다는 겁니다.
우동기 초대 지방시대위원장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들겠다고 역설했습니다.
[인터뷰]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이 주도적으로 정책을 펼치고 중앙이 지원하는 상향식 균형발전 체계를 만들어가겠습니다. 이제는 사는 지방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기회와 생활의 격차가 생기는 불평등을 멈추어야 할 때입니다"
출범식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등 각 부처 장관을 비롯해, 국회 행안위원장과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 등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힘을 실었습니다.
부총리는 우동기 위원장을 추켜세우며 경제 부처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인터뷰]
"지방시대 활짝 열기 위해서 경제정책 재정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해서 이제는 지방시대에 다시 뛰는 대한민국 만드는 데 저희들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주는 '기회발전특구'를 시.도별로 1곳씩 지정해, 지방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다만, 지역 균형발전의 또 다른 한 축인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대해선, 이전 대상기관의 반발과 유치 과열에 따른 지역간 갈등 등을 이유로 속도 조절 의사를 밝혀, 공공기관 추가 이전은 내년 총선 이후로 순연될 전망됩니다.
국회에서 G1뉴스 김형기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지방정책을 총괄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오늘(10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 발전을 위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핵심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김형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윤석열 정부는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겠다며, 균형발전위원회와 자치분권위원회의 통합을 추진해 왔습니다.
정부 출범 1년여 만에 그 결실인 '지방시대위원회'가 현판식을 갖고 공식 업무에 착수했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시.도가 수립하는 지방시대 계획을 토대로 현 정부의 지방시대 종합계획을 수립해 오는 9월 말쯤 발표할 예정입니다.
지방정부의 계획을 중앙정부가 받아들이는 상향식 발전계획을 통해, 지방 발전을 새롭게 도모하겠다는 겁니다.
우동기 초대 지방시대위원장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들겠다고 역설했습니다.
[인터뷰]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이 주도적으로 정책을 펼치고 중앙이 지원하는 상향식 균형발전 체계를 만들어가겠습니다. 이제는 사는 지방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기회와 생활의 격차가 생기는 불평등을 멈추어야 할 때입니다"
출범식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등 각 부처 장관을 비롯해, 국회 행안위원장과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 등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힘을 실었습니다.
부총리는 우동기 위원장을 추켜세우며 경제 부처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인터뷰]
"지방시대 활짝 열기 위해서 경제정책 재정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해서 이제는 지방시대에 다시 뛰는 대한민국 만드는 데 저희들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습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주는 '기회발전특구'를 시.도별로 1곳씩 지정해, 지방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다만, 지역 균형발전의 또 다른 한 축인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대해선, 이전 대상기관의 반발과 유치 과열에 따른 지역간 갈등 등을 이유로 속도 조절 의사를 밝혀, 공공기관 추가 이전은 내년 총선 이후로 순연될 전망됩니다.
국회에서 G1뉴스 김형기입니다.
김형기 기자 hgk@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