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기동.4>가장 효율적인 바다숲..대책은?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 바다숲 조성의 문제점을 짚어보는 기획보도, 오늘은 마지막으로 대책을 모색해 봅니다.

여) 현재 바다 생태계 상황으로 봐서는 앞으로 꾸준히 바다숲 조성 사업은 진행돼야 할 텐데요.

민간기업까지 앞다퉈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가장 효율적인 모델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도운 기자입니다.

[리포터]
바다숲 사업은 한국수산자원공단이 조성한 뒤 4년간의 모니터링 등을 거쳐 각 지자체로 이관하는 구조입니다.

강원도는 매년 9억 원의 예산을 들여 18곳의 바다숲을 관리하고 있지만, 이관된 사업지의 상당 부분은 엉망이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공어초, 바다숲 등 여러 사업 명으로 과거부터 바다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일괄 조성, 관리하는 시스템은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바닷속에 망가진 채 방치되는 구조물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자연을 상대한다는 것은 장기적인 부분이고 그러기 때문에 이것은 여러기관에서, 여러분야에서 협력이 잘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통이 잘 돼야하고,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져야 하겠죠."

사업 전반을 관리·감독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이윱니다.

바다 생태계 복원과 함께 정부와 지자체가 바다숲 조성에 신경쓰는 이유는 온실가스 감축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기도 합니다.

바다숲을 통해 연간 수십만 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 민간기업까지 앞다퉈 참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엄청나게 크게 기여를 합니다 바다숲이. 그래서 바다숲이 잘 조성되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효과도 엄청나게 클 거라고 기대를 하고 있구요."

조성만 잘 되면 생태계 복원을 통한 자원회복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와 자치단체, 민간기업의 유기적 협력 체계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그 효과가 미비하다면 우리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하거든요. 그런데 우리는 그 노력이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바다숲 조성이 잘 된 곳도 있는 만큼, 성공한 지역과 실패한 지역의 면밀한 연구 분석을 토대로,

예산 투입에 앞서 어떤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지를 찾아야 합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