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충취재
<집중.2> 대책없는 송전..발전소 줄도산 위기
2024-12-20
김도운 기자 [ helpkim@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동해안 화력발전소 송전 제약 문제 오늘도 이어갑니다.
장기화되는 사태에 민간 발전사의 경영난은 물론 지역경제가 입을 타격도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하지만 아직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황인데요.
송전선로 건설이라는 장기 계획은 기본이고, 단기적인 대책도 시급합니다.
집중취재, 김도운 기자 입니다.
[리포터]
강릉에서 발전소 협력 운송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이정석 씨.
발전소 송전 제약 상황을 버티지 못해 최근 회사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70% 정도는 각 차량마다 5천만 원씩 손해를 보고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이상 버틸 수 없는 그런 상황이고. 직원들도 일부는 도저히 안되서 6개월치 급여를 주고 해고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가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수도권의 부족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지어진 동해안 화력발전소.
발전소 지역은 각종 불편을 감수하는 대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믿고 건설을 수용했습니다.
하지만 활성화는 커녕 오히려 송전 제약으로 인한 고용 불안 등의 문제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INT/전화▶
"발전이 중단되면 중소 협력업체와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고 고스란히 지역 경제의 충격으로 다가오게 될 것인데 송전선로 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봅니다."
/정부는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19년까지 새로운 송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아직 완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기존 송전망은 안전 문제로 1회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이미 포화 상태인데,
최근 원자력발전소 가동까지 더해지면서 선로 부족 문제가 더 심해졌습니다./
결국 가격이 더 싼 원전 전기부터 선로 사용 우선권을 갖게 되면서 화력발전소가 쓸 수 있는 선로는 사라지게 된 겁니다.
[인터뷰]
"한전이 사실은 송전선 건설을 어떻게 보면 언제까지 하겠다고 한 약속에 근거해서 발전소를 건설한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건설했는데 발전을 할 수가 없으니까 법적으로 어느정도 한전이 보상을 해야한다 이런 논의까지 있고요."
정부는 시기를 앞당겨 내년까지 필요한 송전 선로를 준공한다는 계획이지만,
그때까지 공사를 마칠 수 있을지, 이미 경영난을 겪고 있는 발전사들이 버틸 수 있을지 미지숩니다.
또 지역 전기세 차등 지급을 통해 잉여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전력 소비 시설을 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구상도 내놨지만 당장의 대책은 되지 못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일단 (화력발전소를) 살려 놓고 봐야된다는 것은 원칙적으로 동의하고요. 왜냐하면 발전사에서 재무적 문제로 인해서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면 일단 국가 경제에 상당히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발전업계에 이어 지역사회까지 나섰지만 여전히 이렇다할만한 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지금이라도 정부와 발전업계, 지역사회가 중단기 세부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셉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영상취재/ 원종찬, 권순환>
<디자인/ 이민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동해안 화력발전소 송전 제약 문제 오늘도 이어갑니다.
장기화되는 사태에 민간 발전사의 경영난은 물론 지역경제가 입을 타격도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하지만 아직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황인데요.
송전선로 건설이라는 장기 계획은 기본이고, 단기적인 대책도 시급합니다.
집중취재, 김도운 기자 입니다.
[리포터]
강릉에서 발전소 협력 운송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이정석 씨.
발전소 송전 제약 상황을 버티지 못해 최근 회사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70% 정도는 각 차량마다 5천만 원씩 손해를 보고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이상 버틸 수 없는 그런 상황이고. 직원들도 일부는 도저히 안되서 6개월치 급여를 주고 해고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가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수도권의 부족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지어진 동해안 화력발전소.
발전소 지역은 각종 불편을 감수하는 대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믿고 건설을 수용했습니다.
하지만 활성화는 커녕 오히려 송전 제약으로 인한 고용 불안 등의 문제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INT/전화▶
"발전이 중단되면 중소 협력업체와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고 고스란히 지역 경제의 충격으로 다가오게 될 것인데 송전선로 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봅니다."
/정부는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19년까지 새로운 송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아직 완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기존 송전망은 안전 문제로 1회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이미 포화 상태인데,
최근 원자력발전소 가동까지 더해지면서 선로 부족 문제가 더 심해졌습니다./
결국 가격이 더 싼 원전 전기부터 선로 사용 우선권을 갖게 되면서 화력발전소가 쓸 수 있는 선로는 사라지게 된 겁니다.
[인터뷰]
"한전이 사실은 송전선 건설을 어떻게 보면 언제까지 하겠다고 한 약속에 근거해서 발전소를 건설한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건설했는데 발전을 할 수가 없으니까 법적으로 어느정도 한전이 보상을 해야한다 이런 논의까지 있고요."
정부는 시기를 앞당겨 내년까지 필요한 송전 선로를 준공한다는 계획이지만,
그때까지 공사를 마칠 수 있을지, 이미 경영난을 겪고 있는 발전사들이 버틸 수 있을지 미지숩니다.
또 지역 전기세 차등 지급을 통해 잉여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전력 소비 시설을 지역으로 이전하겠다는 구상도 내놨지만 당장의 대책은 되지 못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일단 (화력발전소를) 살려 놓고 봐야된다는 것은 원칙적으로 동의하고요. 왜냐하면 발전사에서 재무적 문제로 인해서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면 일단 국가 경제에 상당히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발전업계에 이어 지역사회까지 나섰지만 여전히 이렇다할만한 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지금이라도 정부와 발전업계, 지역사회가 중단기 세부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셉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영상취재/ 원종찬, 권순환>
<디자인/ 이민석>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