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 회
2016-08-19
G1방송
Video Player is loading.
키보드 단축키 안내
1972년 소양강다목적댐이 완공되면서 양구와 춘천을 잇는 국도가 상당부분 침수되어
병력과 물자 수송을 위해서 소양호 뱃길을 이용하게 되었다.
1군수지원 사령부 예하 제1선박중대는 1973년 7월 1일 첫 운항을 시작했다.
그들이 이용한 배는 다름 아닌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던 상륙주정(LCM6)이었다.
20년 전 인천 앞바다에서 공격을 기다리던 상륙용 주정이
전쟁이 끝난 후 군인들의 수송선으로 탈바꿈 한 것이다.
1978년 제1선박중대에 전입해 20여 년 동안 근무를 하다가 전역한
윤귀석 육군 예비역 원사는
“상륙주정에서의 신병들의 슬픈 표정과 휴가병들의 들뜬 모습이 기억난다.”며
배에서의 추억을 떠올렸다.
당시 휴가병들은 상륙주정에 타 선상 유람까지 하며 휴가를 떠날 수 있으니
이는 전방 장병들만 누릴 수 있는 특혜였다.
전장의 긴장감이 지나가고 장병들의 웃음과 노랫소리가 흘렀던 오래된 전투선,
그러나 도로 상황이 좋아져 뱃길보다 육로가 용이해지면서
2004년 7월 1일 상륙주정의 운항은 중단되었다.
[DMZ스토리 226부 소양호 위의 상륙주정]
인천상륙작전에서부터 소양호의 수송선으로 변모해 활약한 상륙주정의 역사,
추억의 고선(古船) 이야기를 들어보자.
병력과 물자 수송을 위해서 소양호 뱃길을 이용하게 되었다.
1군수지원 사령부 예하 제1선박중대는 1973년 7월 1일 첫 운항을 시작했다.
그들이 이용한 배는 다름 아닌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던 상륙주정(LCM6)이었다.
20년 전 인천 앞바다에서 공격을 기다리던 상륙용 주정이
전쟁이 끝난 후 군인들의 수송선으로 탈바꿈 한 것이다.
1978년 제1선박중대에 전입해 20여 년 동안 근무를 하다가 전역한
윤귀석 육군 예비역 원사는
“상륙주정에서의 신병들의 슬픈 표정과 휴가병들의 들뜬 모습이 기억난다.”며
배에서의 추억을 떠올렸다.
당시 휴가병들은 상륙주정에 타 선상 유람까지 하며 휴가를 떠날 수 있으니
이는 전방 장병들만 누릴 수 있는 특혜였다.
전장의 긴장감이 지나가고 장병들의 웃음과 노랫소리가 흘렀던 오래된 전투선,
그러나 도로 상황이 좋아져 뱃길보다 육로가 용이해지면서
2004년 7월 1일 상륙주정의 운항은 중단되었다.
[DMZ스토리 226부 소양호 위의 상륙주정]
인천상륙작전에서부터 소양호의 수송선으로 변모해 활약한 상륙주정의 역사,
추억의 고선(古船) 이야기를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