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오전 10시 10분
앵커 이가연
<기동.2>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에서 '산사태'
2023-07-21
정창영 기자 [ window@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위험이 커지면 대피소로 빨리 몸을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긴급 대피해야 하는 장소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대피소로 지정된 학교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이였습니다.
기동취재 정창영 기자입니다.
[리포터]
--사진--
철제 펜스를 뚫고 흙더미와 나무가 쓸려내려 왔습니다.
학교 바로 뒷산에서 사태가 난 겁니다.
--
추가 붕괴를 막기 위해 방수포로 임시조치 했지만, 약해진 지반이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모르는 상황.
담장 안까지 토사가 밀려든 이 학교는 산림청이 지정한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솝니다.
마을 주민들이 산사태 위험에 놓였을 때 몸을 피하는 곳입니다.
이 마을에만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 5곳이 있지만,
정작 주민들은 대피소를 모르거나,
대피소마저 산사태 위험에 노출돼 대형 인명피해 우려나 다른 대피소로 이동하는 등의 혼란이 불가피 합니다.
[인터뷰]
"우리가 저 초등학교 앞에 물 건너에 있거든요. 산 밑에 거기에 있어가지고 비가 많이 오니까 겁이 나더라고 그래서 쫓겨가지고 (마을)회관에 와서 자고 아침에 들어가고.. "
같은 산사태 취약지역 안에 있는 학교와 마을회관이 모두 대피솝니다.
/산림청은 위급상황시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까운 공공시설을 대피소로 선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취약지역에 왜 대피소가 지정될까.
산림청은 산사태 위험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대피소를 지정합니다.
이후에 자치단체가 현장 조사를 통해 최종 취약지역을 정하게 됩니다.
취약지역이 대피소로 지정되는 이윱니다./
주먹구구식 대피소 지정도 문제지만,
위치 홍보나 안내는 더 엉망입니다.
"산사태 위협을 받은 이 학교는 대피소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대피소라는 안내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SYN/음성변조▶
"지금 저희가 6월달에 (산사태대피소 안내 표
지판을) 받아서 마을에다 붙이라고.. 지금 붙이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주민이 직접 검색해서 찾기도 어렵습니다.
민방위 대피소는 인터넷과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는 산림청 홈페이지를 접속해야만 가능합니다.
또 민방위 대피소는 수용인원과 대피소 규모 등도 확인 가능한데,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는 목록만 나열돼 있습니다.
G1뉴스 정창영입니다.
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위험이 커지면 대피소로 빨리 몸을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긴급 대피해야 하는 장소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대피소로 지정된 학교 뒷산이 산사태 취약지역이였습니다.
기동취재 정창영 기자입니다.
[리포터]
--사진--
철제 펜스를 뚫고 흙더미와 나무가 쓸려내려 왔습니다.
학교 바로 뒷산에서 사태가 난 겁니다.
--
추가 붕괴를 막기 위해 방수포로 임시조치 했지만, 약해진 지반이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모르는 상황.
담장 안까지 토사가 밀려든 이 학교는 산림청이 지정한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솝니다.
마을 주민들이 산사태 위험에 놓였을 때 몸을 피하는 곳입니다.
이 마을에만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 5곳이 있지만,
정작 주민들은 대피소를 모르거나,
대피소마저 산사태 위험에 노출돼 대형 인명피해 우려나 다른 대피소로 이동하는 등의 혼란이 불가피 합니다.
[인터뷰]
"우리가 저 초등학교 앞에 물 건너에 있거든요. 산 밑에 거기에 있어가지고 비가 많이 오니까 겁이 나더라고 그래서 쫓겨가지고 (마을)회관에 와서 자고 아침에 들어가고.. "
같은 산사태 취약지역 안에 있는 학교와 마을회관이 모두 대피솝니다.
/산림청은 위급상황시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까운 공공시설을 대피소로 선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취약지역에 왜 대피소가 지정될까.
산림청은 산사태 위험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대피소를 지정합니다.
이후에 자치단체가 현장 조사를 통해 최종 취약지역을 정하게 됩니다.
취약지역이 대피소로 지정되는 이윱니다./
주먹구구식 대피소 지정도 문제지만,
위치 홍보나 안내는 더 엉망입니다.
"산사태 위협을 받은 이 학교는 대피소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대피소라는 안내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SYN/음성변조▶
"지금 저희가 6월달에 (산사태대피소 안내 표
지판을) 받아서 마을에다 붙이라고.. 지금 붙이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주민이 직접 검색해서 찾기도 어렵습니다.
민방위 대피소는 인터넷과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는 산림청 홈페이지를 접속해야만 가능합니다.
또 민방위 대피소는 수용인원과 대피소 규모 등도 확인 가능한데, 산사태 취약지역 대피소는 목록만 나열돼 있습니다.
G1뉴스 정창영입니다.
정창영 기자 window@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