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평일 오후 5시 40분
앵커 강민주
<기획.3> 겉도는 돌봄..기초 자료도 '전무'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도내 돌봄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보는 기획보도 세번째 순서입니다.

이번에는 부처별로 쪼개진 돌봄정책의 문제점과 제대로 된 수요 파악조차 없는 실태를 보도합니다.
송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돌봄정책은 운영 주체와 성격에 따라 모두 5가지로 나뉩니다.

교육부가 운영하고 있는 '초등돌봄교실'과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다함께돌봄센터'와 '지역아동센터',

그리고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와 '아이돌봄서비스' 등입니다./

◀ S / U ▶
"앞서 보신 것처럼 돌봄 정책을 맡아서 관리하는 관련 부처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막상 현장에서는 운영하는 사람도, 이용하려는 학부모도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면 지역에 살고 있는 한 학부모가,

8살, 10살, 그리고 14살의 자녀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막내는 학교돌봄에 어찌어찌 맡길 수 있다해도,

둘째는 3학년이라 지역돌봄센터에 맡겨야 하는데 알음알음으로 어렵게 알아내도 빈자리가 없으면 예약을 걸어 두어야 합니다.

또 중학생인 첫째는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에 맡겨야 합니다.

돌봄센터의 운영 방식에 따라 수혜 대상과 프로그램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퇴근하실때 여기 들러서 아이데려오시고 또 저기 들러서 데려오시고 또 마지막으로 다른 곳에서 데려가시고. 그런 식으로 한곳에 한꺼번에 맡기고 싶어 하시지만 그런 여건이 되지 않아서."

수요에 대한 정확한 파악도 없다는게 더 문젭니다.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는 물론 교육청과 일선 자치단체 등 어디에도 돌봄 서비스 수요에 대한 조사 자료가 없습니다.

정책 입안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가 없다는 얘깁니다.

[인터뷰]
"통합돼있지 못하고 담당하는 부서들이 다르고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사실 학부모들이 이용하시기에 어려움이 있고, 저희도 지역·기관 간 협력하는 부분에도 조금 어려움이 있어서."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가 나눠 시행하고 있는 돌봄 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가칭 '강원도형 중간 지원조직'을 만드는 방안 등이 시급합니다.

[인터뷰]
"강원도 지역 특성상 지역의 유휴공간이라든지 인적자원, 귀농귀촌인구라든가 경력단절여성 등의 인적자원을 활용해서 지역이 협력하는 지역협력형 서비스 모형이 아무래도 강원도에서 적합하다고 생각되고요."

이같은 모형이 개발된다면 시군별 특성에 맞는 '돌봄 바우처 사업'이나 '지역협력형 연계사업'으로도 확대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G1뉴스 송혜림입니다.
송혜림 기자 shr@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