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오후 5시 40분
앵커 강민주
<집중.1>'1인당 1억 원?'..국제인형극학교 논란
2022-07-26
김기태 기자 [ purekitae@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국내 인형극의 본고장으로 자리매김한 춘천시가 국제인형극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인형극 전문가를 양성하겠다는 취지인데, 예산 규모를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참여자 한명당 1억원 정도의 예산을 쏟아붓는게 맞느냐는 겁니다.
집중취재, 먼저 김기태기자입니다.
[리포터]
지난달 초, 춘천시는 국내 처음으로 인형극 전문 교육기관인 '춘천 국제인형극학교' 설립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스튜디오를 비롯해 교육, 미디어 제작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 인형극 관련 국제 교육 거점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문체부 지원으로 춘천시가 설립해 춘천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방식으로, 아시아 최초의 인형극 특화 교육기관을 목표로 설립됐습니다.
"하지만, 장미빛 청사진과는 달리 국제인형극학교에 투입되는 예산과 학교 운영 등을 두고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춘천 국제인형극학교에 투입되는 예산은 국비 7억 원과 시비 13억 원 등 모두 20억 원.
기자재 구입 비용 7억 원을 뺀 나머지 13억 원은 강사료와 학교 운영비, 수강생 숙박비 등으로 쓰입니다.
단순 산술 계산으로 수강생 20명의 18주짜리 교육에 20억 원, 한 명당 1억 원씩 쓰이는 셈입니다.
예산 집행의 적정성 논란이 불거진 이유입니다.
"올해 한해만 해도 단순히 계산해도 20명 정도의 인형극학교 학생 육성에 20억 원이 들어가면, 1년에 1억 원씩.. 한사람당 1억 원씩 아닌가? 시민들이 봤을때요.."
"추계 결과에서 보면은 자산취득비가 매년 7억 원씩 들어가거든요. 운영비나 인건비나 이런 부분들이 상당히 달라요.."
이에 대해 춘천시는 30여년간 유지한 춘천인형극 위상을 높이기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해서라도 국제인형극학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1인당 5천만 원, 8천만 원 이렇게 볼 것이 아니라 학교를 운영하기 위한 기틀을 다지는 투자다 이렇게 생각을 해주셨으면 좋겠고요."
이같은 춘천시의 설명에도 사업이 적정한지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어,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G1뉴스 김기태입니다.
국내 인형극의 본고장으로 자리매김한 춘천시가 국제인형극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인형극 전문가를 양성하겠다는 취지인데, 예산 규모를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참여자 한명당 1억원 정도의 예산을 쏟아붓는게 맞느냐는 겁니다.
집중취재, 먼저 김기태기자입니다.
[리포터]
지난달 초, 춘천시는 국내 처음으로 인형극 전문 교육기관인 '춘천 국제인형극학교' 설립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스튜디오를 비롯해 교육, 미디어 제작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 인형극 관련 국제 교육 거점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문체부 지원으로 춘천시가 설립해 춘천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방식으로, 아시아 최초의 인형극 특화 교육기관을 목표로 설립됐습니다.
"하지만, 장미빛 청사진과는 달리 국제인형극학교에 투입되는 예산과 학교 운영 등을 두고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춘천 국제인형극학교에 투입되는 예산은 국비 7억 원과 시비 13억 원 등 모두 20억 원.
기자재 구입 비용 7억 원을 뺀 나머지 13억 원은 강사료와 학교 운영비, 수강생 숙박비 등으로 쓰입니다.
단순 산술 계산으로 수강생 20명의 18주짜리 교육에 20억 원, 한 명당 1억 원씩 쓰이는 셈입니다.
예산 집행의 적정성 논란이 불거진 이유입니다.
"올해 한해만 해도 단순히 계산해도 20명 정도의 인형극학교 학생 육성에 20억 원이 들어가면, 1년에 1억 원씩.. 한사람당 1억 원씩 아닌가? 시민들이 봤을때요.."
"추계 결과에서 보면은 자산취득비가 매년 7억 원씩 들어가거든요. 운영비나 인건비나 이런 부분들이 상당히 달라요.."
이에 대해 춘천시는 30여년간 유지한 춘천인형극 위상을 높이기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해서라도 국제인형극학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1인당 5천만 원, 8천만 원 이렇게 볼 것이 아니라 학교를 운영하기 위한 기틀을 다지는 투자다 이렇게 생각을 해주셨으면 좋겠고요."
이같은 춘천시의 설명에도 사업이 적정한지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어,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G1뉴스 김기태입니다.
김기태 기자 purekita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