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기획보도.2> 동계 경기장 관리주체 '갈등' R
2013-10-01
이종우 기자 [ jongdal@g1tv.co.kr ]
[앵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활용 대책을 점검하는 기획보도 순섭니다.
사후 활용 방안의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지만, 대회 이후 경기장을 누가 관리하느냐를 놓고도 강원도와 강릉시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사후관리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인데, 접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종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빙상 경기장은 스피드 스케이트를 비롯해 모두 5곳.
평창과 정선에 조성되는 설상 종목과 달리, 빙상 경기장은 모두 강릉에 조성됩니다.
강원도는 동계올림픽 유치 당시 IOC에 제출한 비드파일에 근거해, 사후 관리는 강릉시에 맡길 계획입니다.
[인터뷰]
"강원도/전화 싱크"
이에따라 오는 2016년 빙상장 건립이 마무리되는 대로 강릉시로 소유권을 넘기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강릉시의 생각은 다릅니다.
대회 이후 경기장 운영.관리에 따른 막대한 재정 부담을 강릉시 혼자 떠맡을 수 없다는 겁니다.
특히, 스피드 스케이팅장의 경우 워터파크로 바꾸기 위한 민자 유치가 불발되면, 강릉시 재정악화는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평창의 설상 경기장에 대해선 강원도가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것에 비해 형평성에도 안 맞는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동계경기장은 국가 행사이기 때문에 정부와 강원도가 적극 협의해 나가야 합니다"
강원도와 강릉시의 이견으로 경기장 건설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소유권과 관리주체가 합의되지 않으면서, 건축허가나 토지형질 변경 등의 인허가 절차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강원도는 경기장 사후관리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오는 8일 강릉시와 협의를 벌일 예정입니다.
대승적 차원에서 서로 한발씩 양보해 올림픽 유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G1뉴스 이종웁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활용 대책을 점검하는 기획보도 순섭니다.
사후 활용 방안의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지만, 대회 이후 경기장을 누가 관리하느냐를 놓고도 강원도와 강릉시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사후관리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인데, 접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종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빙상 경기장은 스피드 스케이트를 비롯해 모두 5곳.
평창과 정선에 조성되는 설상 종목과 달리, 빙상 경기장은 모두 강릉에 조성됩니다.
강원도는 동계올림픽 유치 당시 IOC에 제출한 비드파일에 근거해, 사후 관리는 강릉시에 맡길 계획입니다.
[인터뷰]
"강원도/전화 싱크"
이에따라 오는 2016년 빙상장 건립이 마무리되는 대로 강릉시로 소유권을 넘기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강릉시의 생각은 다릅니다.
대회 이후 경기장 운영.관리에 따른 막대한 재정 부담을 강릉시 혼자 떠맡을 수 없다는 겁니다.
특히, 스피드 스케이팅장의 경우 워터파크로 바꾸기 위한 민자 유치가 불발되면, 강릉시 재정악화는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평창의 설상 경기장에 대해선 강원도가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것에 비해 형평성에도 안 맞는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동계경기장은 국가 행사이기 때문에 정부와 강원도가 적극 협의해 나가야 합니다"
강원도와 강릉시의 이견으로 경기장 건설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소유권과 관리주체가 합의되지 않으면서, 건축허가나 토지형질 변경 등의 인허가 절차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강원도는 경기장 사후관리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오는 8일 강릉시와 협의를 벌일 예정입니다.
대승적 차원에서 서로 한발씩 양보해 올림픽 유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G1뉴스 이종웁니다.
이종우 기자 jongdal@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